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취업과 일자리

정규직 줄고 외주화 가속…공공기관발 ‘일자리 가뭄’ 온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원 감축, 세부 내역과 전망은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철도공사, 자연감소분에 채용 축소
한전, 청경·검침 등 자회사 이관
장기 공석 없애고 인력 재배치도
노조 “서비스 질·안전 무시” 비판

정부가 2025년까지 공공기관 정원을 1만2000명 이상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당장 내년부터 공공기관 채용에 한파가 불어닥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장기간 채용 없이 비어있는 자리를 아예 없애거나, 정년퇴직 등 자연감소 인원을 활용, 신규 채용을 덜 하는 방식으로 인원을 줄이기로 방향을 잡았다. 공공기관별로 외주화로 대체 가능한 인력부터 줄일 가능성이 커 경비·보안·환경미화 같은 인력들이 다시 비정규직, 파견직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도 나온다.

2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공기업 중 구조조정 규모가 가장 큰 곳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로 2025년까지 722명을 구조조정할 계획이다. 코레일은 정년퇴직 등으로 매년 1000여명의 인력이 자연감소되는데, 신규 채용규모를 줄여 700여명의 정원을 축소할 계획이다.

두 번째로 큰 규모인 469명을 구조조정하는 한국전력은 청경, 검침 등의 업무를 전문 자회사로 이관을 추진한다. 한전 관계자는 “청경, 검침을 맡고 있는 인력 등이 퇴직하면 전문 자회사에서 충원하는 방식으로 인력 감축이 이뤄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최대한 뽑을 수 있는 인원과 현재 근무하고 있는 인원 사이를 줄이는 정·현원차 조정도 이뤄진다. 최근 한전은 해외사업을 대폭 줄이면서 실제 근무하는 인력들도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타공공기관인 한국도로공사서비스는 공공기관·준정부기관·기타공공기관을 통틀어 가장 많은 1041명을 감축하는데, 역시 향후 3년간 발생하는 자연감소분과 청소 등 관리인력서비스 외주화가 대부분으로 파악된다.

우체국에서도 환경미화나 위생관리, 청사 경비, 기계·시설관리 등을 맡는 우정사업본부 산하기관인 우체국시설관리단의 정원 조정 폭도 크다. 기존 정원 2709명의 16.4%인 445명이 줄었다. 우정사업본부 관계자는 “현재 우체국시설관리단의 정년은 65세”라며 “다른 공공기관 정년보다 높기 때문에 시설단 인력 중에는 60세 넘은 고령자도 많다”고 말했다.

마사회는 마권발매 인력의 자연감소를 통해 373명을 감축할 예정이다. 마사회는 지난 정부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을 통해 주말 마권발매 인력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는데, 주말근무 특성상 재취업 등을 통해 이직하는 인력이 발생하면 자리를 줄여나갈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기존 정원 1만9114명 중 343명을 조정해야 한다. 지난 9월 ‘공공기관 혁신 계획안’에서 건보공단이 보고한 인력 감축 계획보다 3배 이상 늘어났다. 당뇨와 고혈압 등에 대한 일차의료 담당 부서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운영하는 부서 등의 기능이 대폭 축소되면서 건강보험 보장성이 크게 후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당초 구조조정 대상으로 지목됐던 초음파·자기공명영상(MRI) 급여 관련 업무 인력 역시 재배치 대상이 됐다. 국민연금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도 기존 정원의 2%가 넘는 인원이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됐다.

정부의 구조조정 방안과 관련해 철도노조 관계자는 “사업은 늘어나는데 인력을 줄이는 철저한 안전무시 감축”이라며 “정년들이 나간 자리에는 새로운 신규 채용이 이뤄져야 하지만 자연감축으로 기존 일자리를 없애는 방식은 청년고용 절벽시대에 청년을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 인력감축방안”이라고 비판했다.

김철중 국민건강보험노동조합 위원장은 “이번 구조조정으로 부서 자체가 폐지되면 건강보험의 보장성이 크게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 “보건복지부가 산정특례와 재난적 의료비 등 새롭게 강조하고 있는 정책을 추진하려면 오히려 인력 충원이 필요한데도 감축을 강행할 경우 공공서비스 품질이 크게 저하될 것”이라고 말했다.

류인하·박상영·이정호 기자 acha@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