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석자 “간담회라기보다 노동계 현안 대화”
전용기 “파업 노동자 절절한 사연 들어야”
경사노위 “운송거부 현장 화주·운송업체 면담”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장이 지난 10월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문수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위원장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 파업과 관련해 주재한 외부 간담회가 1건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마저도 정식 간담회라기보다 전직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의견 청취용 식사 자리에 가까웠다고 한다. 화물연대 파업을 중재해야 할 김 위원장이 제 역할을 못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경사노위 측은 “화물연대 운송거부 현장을 방문해 화주, 운송업체 관계자 등과 면담했다”고 반박했다.
7일 전용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경사노위는 ‘화물연대 파업 관련 김 위원장의 활동 내역’ 제출 요구에 간담회 1건을 진행했다고 회신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25일 서울 종로구의 한 한정식집에서 전국항운노조 위원장을 지낸 최봉홍 전 국회의원, 노동계 간부 출신 인사 등과 2시간가량 대화를 나눴다. 현직 노동계 인사는 없었다. 식사비는 ‘화물연대 등 노동계 파업 관련 간담’이라는 명목으로 경사노위 업무추진비로 결제됐다.
그러나 한 참석자는 정식 간담회라기보다 현안 청취를 위한 식사 자리에 가까웠다고 했다. 최 전 의원은 통화에서 “간담회라기보단 오랜만에 만나 노동계 현안에 대해 대화를 나눈 자리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별다른 얘기 없이 화물연대나 현재 노조가 흘러가는 방향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헤어졌다”며 “김 위원장이 노동계에 있던 사람이 아니니 그동안의 (노동계) 얘기들을 전했다”고 했다.
당시 식사 자리에 배석한 김 위원장 측 인사는 전 의원실에 “(최 전 의원 등을 통해) 항만 물류가 원활한지, 얼마만큼 파악됐는지 등을 청취했다”고 했다. 이어 ‘만난 사람들이 현장을 떠난지 오래되지 않았느냐’는 질문에 “그들이 아는 네트워크에서 듣는 거랑 속사정을 알려준 것”이라고 했다.
경사노위는 근로자, 사용자, 정부가 노동·경제·사회 정책을 협의하기 위해 설립된 사회적 대화기구이자 대통령 자문기구이다. 그런데도 이 기구의 수장인 김 위원장은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적대적 인식을 감추지 않는다. 김 위원장은 지난 달 30일 페이스북에 “대통령이 ‘불법과 타협은 없다’며 업무복귀명령을 발동하니 파업 현장에 국가공권력이 살아나고 있다”는 글을 올렸다. 지난 1일과 5일 화물연대 파업을 주제로 열린 경사노위 자문단 회의 모두발언에선 “불법과는 타협 안 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4일 만난 이봉주 화물연대 위원장과의 대화 내용을 일방적으로 공개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선 복귀, 후 대화를 제시했다”면서 “(이 위원장이) 조합원 동의로 어렵다고 하더라”라고 전했다.
전 의원은 “김 위원장은 화물연대 파업 주변부에 있는 옛 동료들을 만나 환담을 나눌 게 아니라 현장에서 고된 노동을 하는 진짜 노동자들의 절절한 얘기에 귀기울여야 한다”면서 “경사노위 본령에 맞게 정부와 노동자들 사이에서 파업 중재자 역할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경사노위는 이날 보도 반박자료를 내고 “김 위원장은 11월24일부터 12월2일까지 4차례 의왕ICD와 수색 성신양회 등 화물연대 운송거부 관련 현장을 방문해 화주, 운송업체 관계자 등과 면담했다”며 “앞으로도 경제사회 주체 및 정부와 사회적 대화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김문수 경사노위 위원장, 화물연대 파업 중재는커녕 “기획총파업” 공격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190064?sid=102
전지현 기자 jhyun@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