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화물연대 총파업

화물연대파업 시멘트 피해액, 철강의 10분의 1에도 업무개시명령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일주일째 계속되는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로 국가 핵심기반인 물류체계가 심각한 위기에 빠져있습니다. 이에 따라 시멘트 분야 운송사업자와 운수종사자가 정당한 이유 없이 업무에 복귀하지 않으면 법에서 정한 제재 절차에 들어가겠습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30일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모두발표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전날 열린 국무회의에서는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피해 업종 중 시멘트 업종이 특히 피해가 큰 것으로 확인하고, 시멘트 분야에 대해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하기로 했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피해액 규모로 보면 시멘트 업종은 철강이나 석유화학 업종과 비교해 피해 규모는 크지 않다. 한국무역협회가 산업별 협회를 통해 화물연대 파업 관련 피해액을 집계한 결과, 가장 피해액 규모가 큰 곳은 철강으로 24일부터 29일까지 총 6일간 피해액 규모는 총 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어 석유화학 피해액은 2720억원, 시멘트는 810억원이다. 업종별 피해액 규모로는 시멘트가 세 번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시멘트 업종에 대해서만 업무개시명령을 내린 이유는 건설현장에 대한 파급력이 크기 때문이다. 철강의 경우 자동차, 건설, 가전 등 전방위 산업에 영향이 크긴 하지만 각 각 산업별로 철강 재고를 쌓아둘 수 있다. 현재 철강에 들어가는 연관 산업군들은 철강 보유 여부 적재 분으로 생산을 이어나가고 있다.

반면 시멘트는 재고를 쌓아두기 어려운 구조다. 시멘트의 경우 최종 수요처인 레미콘사와 건설현장에 공급되지 위해선 육상 수송이 반드시 필요한데, 수송 이후 시멘트는 시멘트 저장 목적으로 만들어진 '사일로'란 공간에 저장된다. 이 사일로 저장 용량은 한정돼 있어 매일매일 저장된 시멘트가 빠지지 않으면 시멘트 수급이 불가능한 것이다.

건설현장의 경우 현장이 돌아가려면 시멘트 수급이 필수적인데, 화물연대 파업으로 시멘트가 제대로 빠지지 못해 건설현장이 멈춘 상황이다. 대한건설협회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으로 8개 건설사의 전국 459개 건설현장 중 56%에 해당하는 256개 현장이 지난 25일부터 레미콘 타설이 중단됐다.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기존 시멘트 수요의 10% 미만만 시멘트가 출하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창기 한국시멘트협회 부회장은 "화물연대의 운송거부로 인한 공급차질 규모는 콘크리트업계 및 건설현장까지 감안하면 피해 규모가 크게 늘어난다"면서 "저장공간의 특수성 탓에 시멘트가 매일매일 공급돼야 건설현장이 제대로 돌아갈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해 파급효과가 크다"고 우려했다.

abc123@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