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취업과 일자리

전경련 또 문재인 정부 겨냥..."비정규직 정규직화로 청년 일자리 감소될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요 공기업 35곳, 최근 5년간 재무·고용지표 분석
영업적자에도 공공일자리 확대 정책, 3.6만명 채용
청년 채용, 2019년 이후 반토막
한국일보

게이이미지뱅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기업들이 최근 5년 동안 성장과 상관없이 직원수를 늘려와, 앞으로 사람을 뽑을 때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9일 공개한 주요 공기업 35곳의 최근 5년(2017~2022년) 동안 재무·고용지표에 따르면 조사 공기업들의 직원 규모는 2017년 3분기 13만3,000명에서 올해 3분기 15만 명으로 증가했다. 지난 5년 동안 공기업 한 곳당 평균 483명이 늘어난 것이다.

이 기간 일반 정규직 신규 채용 인원은 총 3만6,820명이고,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한 무기 계약직도 3,892명이나 고용됐다. 정규직 인원이 늘다 보니 인건비와 복리후생비(2017년 10조5,000억 원→12조3,000억 원)도 덩달아 올랐다. 전경련 측은 "문재인 정부 때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 공공일자리 확대 정책이 시행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재무 건전성을 감안하면 무리한 채용이었다는 게 전경련 지적이다. 공기업들의 평균 영업이익률(해당 연도 상반기 기준)은 2017년 8.4%에서 지난해 4.0%로 급감했고, 올해는 한국전력 사태 여파로 적자(-11.6%) 전환하기까지 했다.

또 부채(상반기 기준)는 2017년 411조9,000억 원에서 올해 539조9,000억 원으로, 128조 원 급증했다. 자본 대비 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161.8%에서 196.1%로 큰 폭으로 늘었다.

문제는 재무 상태를 감안하지 않은 채용이 이뤄지다 보니, 점차 신규 채용이 크게 줄었다는 점이다. 실제 청년 신규 채용은 2019년(9,326명) 정점을 찍은 뒤, 2020년 6,833명, 2021년 5,440명, 2022년(3분기 현재) 2,830명 등으로 매년 줄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정부 시절 공기업들이 천문학적 적자를 보면서도 직원수를 늘려왔다"며 "적자에 인건비까지 늘어나면서 자연스레 청년들을 위한 신규 일자리는 감소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박관규 기자 ac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