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천 203만원·강북 115만원 늘때
강남 104만원·서초 73만원 상승
28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영석 의원이 분석한 서울 구별 종부세 자료에 따르면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지역의 올해 1인당 평균 주택분 종부세는 2년 전보다 강북 115만원(158만→273만원), 도봉 77만원(109만→186만원), 노원 73만원(117만→190만원)씩 각각 올랐다.
![]() |
올해 서울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금관구'(금천·관악·구로) 지역이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보다 2년 전 대비 1인당 평균 종합부동산세(종부세)가 더 큰 폭으로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8일 서울의 한 부동산중개업소에 붙은 상담 안내문 등.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반면 상대적으로 고가 주택이 많은 강남4구는 강남이 104만원(360만→464만원)으로 오름폭이 가장 컸다. 서초는 73만원(288만→361만원), 송파는 57만원(151만→208만원), 강동은 46만원(134만→180만원) 각각 올라 강남을 제외하고 100만원 미만의 오름폭을 보였다.
이 외 지역에서는 금천이 203만원(135만→338만원) 올랐고 관악이 126만원(149만→276만원), 구로가 115만원(135만→250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4구만큼 부동산 강세를 보인 것으로 알려진 마용성은 마포가 37만원(174만→211만원), 성동이 39만원(213만→252만원) 올랐다. 용산은 오히려 106만원(593만→487만원) 내린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서울 25개 구 중 1인당 종부세가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중구로, 2년 전 605만원에서 올해 856만원으로 251만원 올랐다.
윤 의원은 “코로나19로 유동성이 풍부해진 상황에서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집값이 폭등하면서 종부세도 급등했다”며 “정부·여당은 1주택자에 한해 한시적으로 2020년 수준으로 종부세 부담을 내리는 법안을 통과시키려 했으나 야당이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
지난 23일 서울 강남구 강남우체국에서 집배순로구분기로 분류한 8만7000여부의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고지서가 쌓여 있다. 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 의원은 또 “고가 주택이 몰린 용산, 서초, 마포, 양천 등의 1인당 종부세 증가분보다 서울 강북권·서남권 증가분이 크다는 것은 종부세가 불평등한 세금이라는 방증”이라고 강조했다.
세종=안용성 기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