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화물연대 총파업

해외 전문가들 “단기간 조사로 안전운임제 효과 분석 한계 있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지난 26일 데이비드 피츠 교수와의 화상인터뷰 모습. 인터뷰는 임월산 국제운수노련(ITF) 도로운수분과부의장(윗줄 오른쪽) 통역으로 진행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물연대가 2차 총파업에 나선 이유는 일몰제 적용 대상인 ‘안전운임제의 안착’을 위해서다. 화물연대는 안전운임제를 한시적으로 운영해선 효과를 보기 어렵다고 우려한다. 그러나 국토교통부와 대통령실은 줄곧 “안전운임제 도입 이후 사고위험이 줄었는지 확실한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며 “효과가 불분명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해외 전문가들은 “1~2년 기간 동안 진행된 조사로 안전운임제 효과를 분석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어떤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았다. 사고 추세를 보려면 장기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경향신문은 오랜시간 안전운임제를 연구해 온 데이비드 피츠 호주 브리즈번 그리피스대학교 고용관계 명예교수, 마이클 벨저 미국 웨인주립대학교 경제학 교수와 지난 26일 화상인터뷰를 진행했다.

30년 넘게 안전운임제와 교통사고간 상관관계를 연구해 온 데이비드 피츠 교수는 “1~2년의 데이터로 사고율이 줄었다, 늘었다고 말할 수 있어도 그것만으로 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는 없다”고 했다. 이어 “호주 뉴사우스웨일주에서 1989년부터 2021년 기준 안전운임제 시행으로 205명의 생명을 살렸다. 안전운임제 도입 이후 사고율이 줄어들었다는 것이 제 연구의 결론이다”라며 “확실한 건 제도 도입 후 10~15년 사이에 교통사고 감소 추세가 보인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피츠 교수는 “한국 정부의 3년 연장안은 충분하지 않다”며 “‘일몰’식의 연장은 이해당사자들로 하여금 법을 준수하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피츠 교수는 “제도를 제대로 평가하고자 한다면 일몰제를 폐지하되 5년 뒤 평가한다는 조항을 넣는 방법을 고민해 볼 수 있다”고 했다. 평가를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제도를 안착시킬 필요가 있다는 조언이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는 1979년부터 안전운임제를 시행하고 있다. 차종·품목을 점점 확대해 현재 음식배달 차량을 제외한 전 차종·품목에 적용 중이다. 피츠 교수는 “모든 사업주는 비용을 계산한다. 안전운임위원회에서 이해당사자들에게 기회를 주면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며 “물론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수 있겠지만, 그것이 차종·품목을 확대 적용을 불허하는 이유가 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경향신문

지난 26일 마이클 벨저 교수와의 화상인터뷰 모습. 인터뷰는 임월산 국제운수노련(ITF) 도로운수분과부의장(윗줄 오른쪽) 통역으로 진행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전운임제와 화물노동자의 안전문제에 대해 20년 동안 연구해 온 마이클 벨저 교수는 “안전운임제를 통한 적정임금 수준의 보장은 장시간 노동을 줄여 안전한 일터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이는 2018년 벨저 교수가 발표한 ‘왜 화물기사는 극단적으로 오래 일하는가’라는 논문에서 주요하게 다룬 내용이기도 하다.

벨저 교수는 “노동자들이 생계를 유지할 정도의 소득수준이 되면 ‘과로나 과속 등을 하지 않을 것’이 논문의 가설이었고, 이 가설이 맞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설명했다. 논문의 결론은 화물노동자들이 목표수준의 소득을 넘으면 더 적은 시간 일하게 돼 결론적으로 고속도로 안전이 강화된다는 내용이다.

또 벨저 교수는 지난해 연구에서 “화물기사의 보수율이 1% 높아지면 사고 발생률이 3.16% 낮아진다”는 결론도 도출했다. 그는 “적절한 운임 보장은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유인책이 되고, 이는 결국 도로 위 국민의 안전과도 연결된다. 안전운임제 도입이 필요한 이유다”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안전운임제가 도입돼 있지 않다. 벨저 교수는 “안전운임제에서 미국보다 앞선 한국 정부가 이 흐름을 주도하고, 후퇴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았으면 한다”며 “다음 단계로 도약하는 방향은 국민의 안전과 보건을 강화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 “왜 화물노동자들은 안전운임에 목숨을 거나…해외도 마찬가지”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210021521001


유선희 기자 yu@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