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종교계 이모저모

[오늘의 스프] '사찰 의혹' 경찰청 내부 문서 공개합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인싸'들의 프리미엄 레시피, 지식구독플랫폼 스브스프리미엄, 스프입니다.

11월 17일 목요일 <오늘의 스프>가 도착했습니다. 쌀쌀해진 날씨에 어울리는, 따끈따끈하고 영양 많은 알찬 콘텐츠가 가득 있습니다. 네 가지를 골라 담아드립니다.

-[마부뉴스] 우리는 왜 대학에 가려할까요?
-[스프X뉴욕타임스] 미국 중간선거에서 '붉은 파도'가 없었던 이유는
-[극적인 사람들] 빙하가 간직한 이야기를 들으셨나요?
-[데이터창고] '사찰 의혹' 경찰청 정보국 내부 문서 공개합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먼저 권해드리는 <오늘의 스프>는 수능일을 맞아 준비한 콘텐츠입니다. 하나의 이슈를 데이터로 깊이 있게 살펴보는 마부작침의 뉴스레터 [마부뉴스], 수능과 대학에 관한 하고 많은 이야기 중에 [마부뉴스]가 던지는 질문은 이겁니다.

[마부뉴스] 우리는 왜 대학에 가려할까요?



먼저 우리나라가 현재 얼마나 대학을 많이 가고 있는지부터 살펴볼게요. 사실 이 자료는 많이 낯설지 않을 겁니다. 우리나라 대학 진학률이 높다는 이야기는 독자 여러분도 많이 들어봤을 테니까요. 위 그래프는 1980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고등학교와 고등교육기관(대학교, 대학원)의 취학률의 변화 모습입니다.

1980년만 해도 고등학교를 간 학생은 전체의 절반이 되질 않았어요. 하지만 그 수치는 꾸준히 올라 1999년엔 10명 중 9명이 고등학교에 진학을 했고, 2022년 현재 고등학교 취학률은 94.5%에 달하고 있죠. 대학교(및 대학원) 취학률은 고등학교 취학률보다는 낮지만 1990년대의 급격한 상승세에 힘입어 2007년부터는 70%대를 유지하고 있어요. 1980년 11.4%였던 고등교육기관 취학률은 2022년 현재 71.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고요.



SBS

**'보러가기'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 붙여서 보세요.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프와 뉴욕타임스, 그리고 뉴스페퍼민트가 참여한 콜라보 프로젝트 [스프 X NYT], 이번 편 역시 미국 중간선거 결과를 조금 다른 관점에서 분석해봤습니다. 미국 중간선거에 예상과는 조금 다르게 '붉은 파도'가 일지 않았던 이유에 대해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 미셸 골드버그의 '분위기 파악에 실패한 공화당'을 번역해 전하고, '투표용지' 효과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스프 X 뉴욕타임스] 미국 중간선거에서 '붉은 파도'가 없었던 이유는



지금까지 진행된 개표 결과를 보면, 이른바 "붉은 파도(red wave)"는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있어도 그 힘은 미미했다는 평가가 대부분이죠. 중앙 선관위가 없는 미국은 주 정부가 주별로 선거를 관리하고 결과를 확정합니다. 땅덩이도 넓은데다 우편투표도 워낙 많이 하다 보니 최종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는데, 미국 시각으로 13일 밤 현재 상원은 민주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는 것이 확정됐습니다. 공화당은 하원 다수당 자리를 빼앗아 오는 데 만족해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마저도 예상보다 의석 차이가 작은 아슬아슬한 다수당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붉은 파도가 일지 않았다고 지난번에 소개한 분석이 의미 없어지는 건 아닙니다. 장기적으로 민주당이 노동자 계층의 지지를 다시 얻지 못한다면, 선거 때마다 관심이 쏠리는 중요한 경합주(swing states)에서 열세를 면하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붉은 파도가 일지 않은 이유를 둘러싸고 많은 분석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그 가운데 칼럼니스트 미셸 골드버그가 쓴 칼럼 "분위기 파악에 실패한 공화당(Republicans Did Not Read the Room)"을 번역해 소개하고, 이어 뉴욕타임스 팟캐스트 데일리에 여론조사 결과를 분석해 소개하는 네이트 콘 기자가 출연해 설명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보러가기'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 붙여서 보세요.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스프는 남극과 북극에서 전해온 기후 위기의 심각성, [극적인 사람들]입니다. 빙하는 아주 오래 전부터 최근까지 많은 것을 간직하고 있고 그들의 기억으로부터 우리는 지구의 과거를 복원해보려 노력합니다. 빙하가 사라지고 있는 건 그런 기억도 상실할 수 있다는 겁니다.

[극적인 사람들] 빙하가 간직한 이야기를 들으셨나요?



바다를 떠난 수증기가 모두 빙하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남반구의 예를 들면, 증발한 수증기가 긴 거리를 여행하여 남극 대륙에서 눈으로 내려야만 빙하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수증기는 일찌감치 비나 눈으로 바뀌어 바다로 돌아가고, 극히 적은 양만이 극한의 남극 내륙에 도달하여 마침내 빙하의 구성원이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가 남극에서 마주하는 빙하는 험난한 여정의 기억을 간직한 수증기의 결정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들은 고향인 바다로 돌아가기를 보류하고 남극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오래된 빙하는 무려 백만 년 이상 남극에 머물고 있습니다.

**'보러가기'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 붙여서 보세요.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창고] '사찰 의혹' 경찰청 정보국 내부 문서 공개합니다



마지막은 경찰청 정보국의 '사찰 의혹'과 관련한 내부 문서입니다. 경찰이 국회와 언론을 대상으로 경찰 책임론에 대한 정보 수집 활동을 강화하려 한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각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들이 국회를 상대로 두고 있는 협력관의 운영 인원과 소속 부서, 활동 예산 규모 등을 파악해 오는 18일까지 제출하라는 내용을 담은 문서, <스프>의 데이터창고에서 전문을 공개합니다.

아래 배너를 클릭하면 다운로드받을 수 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창고'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 붙여서 보세요.

심영구 기자(so5what@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