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한국은행-한국경제학회 국제 컨퍼런스’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한국은행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긴축적 통화기조를 유지해 인플레이션 수준을 낮추는 것은 여전히 한국은행의 우선과제”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11일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은과 한국경제학회가 공동 개최한 국제 컨퍼런스에서 “여러 주요 중앙은행들과 마찬가지로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한은의 전망은 체계적인 오차를 나타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오차의 주요 원인으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에 따른 에너지 가격의 상승, 미국의 빠른 금리 인상에 따른 원화 가치 절하 등을 지목했다. 이 총재는 “비록 하반기에 에너지 가격이 어느 정도 하락했지만 에너지 수입가격 책정은 주로 미 달러화로 이루어진다”며 “동 기간 진행된 원화 가치 절하가 에너지 가격을 여전히 높은 수준에 머물도록 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들어서는 인플레이션과 환율이 비교적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도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긴축적 통화기조를 유지함으로써 물가 안정 기조를 공고히 하고 인플레이션 수준을 낮추는 것은 여전히 한은의 우선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재는 “그동안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그 어느 때보다 빨랐기 때문에 경제의 다양한 부문에서 느끼는 경제적 압박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금융안정 유지, 특히 비은행 부문에서의 금융안정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은행 예금금리가 빠르게 상승함에 따라 비은행 부문에서 은행 부문으로 자금이동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며 “고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의 긴축 하에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이러한 자금흐름을 비은행 부문으로 어떻게 환류시킬 것인가는 한은이 당면한 또 하나의 정책적 이슈”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한국경제가 직면한 장·단기 과제를 거론하면서 미·중 간의 긴장 심화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악화 등이 글로벌 무역 위축 등으로 이어지고 이는 수출에 크게 의존하는 한국경제의 장기 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총재는 “이러한 측면에서 경제·정치적 차원에서의 글로벌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20년간 중국과의 무역 확대로 인한 혜택으로 한국경제는 고통스러운 구조개혁을 지연시킬 수 있었지만 이제 더 이상의 그런 여유는 없다”며 “한국경제는 공급망을 다변화하고 일부 산업에 치중된 산업구조를 개선하는 등 보다 균형 있고 공정한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희진 기자 daisy@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