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첫 기동대 도착까지 '85분'…부실 대응, 이뿐만이 아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휘 공백 '허둥지둥'

<앵커>

국가 애도기간은 끝났어도 애도는 계속됐습니다. 참사에 대한 냉정한 분석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10월 29일 사건 당일, 경찰의 부실한 대응이 또 드러났습니다. 지휘부 공백 상태에서 경찰 기동대는 사건 발생 1시간 25분이 지나서야 현장에 도착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먼저 손형안 기자입니다.

<기자>

참사 당일인 지난달 29일 경찰 11기동대는 밤 11시40분에 이태원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당시 현장에 투입된 기동대 5개 부대 가운데 가장 먼저 도착한 건데, 참사 발생 이후 85분이나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이후 77기동대와 67기동대, 32기동대, 51기동대 등 4개 부대가 밤 11시 50분부터 이튿날 새벽 1시33분까지 차례로 현장에 도착했습니다.

이들 부대는 용산경찰서와 서울경찰청 지시로 출동했는데, 지시 시점이 밤 11시 17분부터 이튿날 새벽 1시 14분까지로, 이미 참사 현장에서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한 이후입니다.

안전 관리와 질서 유지를 담당하는 경찰 기동대 출동이 늦어진 건 지휘부의 늑장 대응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이임재 당시 용산경찰서장이 이태원파출소에 도착한 시간은 밤 11시 5분, 이 전 서장의 전화보고로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이 참사사실을 인지한 시간은 밤 11시 36분, 이들이 이 시간 이후에 기동대 투입을 지시했기 때문입니다.

안전관리와 질서유지를 담당하는 기동대를 미리 배치하지 않은 데다 투입 시기마저 늦어진 건 이번 참사 피해가 커진 이유 중 하나로 꼽힙니다.

부실한 현장 대응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참사 당일 마약단속을 위해 현장에 배치된 형사 인력들이 상황을 인지하고 조치에 나선 시간은 밤 10시 44분.

사고 발생으로부터 이미 29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수사 인력을 514명으로 증원한 경찰 특수본은 기동대를 비롯한 경찰 인력이 현장에 늦게 투입한 원인도 집중 수사할 방침입니다.

특수본은 또 핼러윈 기간 안전사고를 우려하는 내용의 용산경찰서 내부 보고서가 작성됐다가 참사 이후 삭제된 정황도 포착해 수사에 나섰습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윤태호)
손형안 기자(sh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