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이태원 참사] 세월호 8년만에 이태원 비극…느슨한 시각, 화 불렀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자체·경찰, ‘범죄예방’에 대비 중점

“통행관리·교통통제 했더라면” 아쉬움

“사고 상상력 결여…안전전문가 운용해야”

경찰, CCTV영상서 최초 사고지점 분석중

헤럴드경제

31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이태원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 현장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연합]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154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태원 핼러윈 압사 참사’가 벌어진 원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좁은 골목에 10만명 이상이 몰릴 것으로 예상됐던 만큼, 안일하게 대처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 책임이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거세지고 있다.

31일 헤럴드경제 취재에 따르면 이태원을 관할하는 용산구는 핼러윈을 앞두고 지난 27일 대책회의를 열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방역 점검이 주된 논의 사항이었다. 서울시 역시 안전관리를 위한 회의를 열거나 별도 지침을 내리지도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자체가 주최·후원하는 행사가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용산경찰서는 핼러윈 종합치안 대책을 준비해 범죄·무질서 취약장소에 경력을 배치하기로 했으나, 클럽·유흥업소를 통한 마약범죄 단속에 보다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지난 26일 이태원 상인들과 가진 간담회에서도 범죄 단속 협조에 대한 당부가 있었다. 서울경찰청이 밝힌 핼러윈 축제 당시 동원 경력은 지역경찰 32명·수사 50명·교통 26명 등 총 137명이다.

이 같은 상황에는 정부의 안일한 시각이 기저에 깔려 있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이번 사고와 관련해 “경찰과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고 발언한 것도 정부의 부적절한 상황 인식을 보여준다는 비판을 불렀다.

핼러윈 축제 현장을 지켜본 시민들은 정부, 지자체가 대규모 인파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을 통해 적극적인 질서 유지 활동에 나섰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사고가 일어난 골목은 폭이 약 4m 밖에 안 됐지만, 질서유지선 설치나 통행관리 등이 이뤄지지 않았다. 때문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려는 시민들이 몰려 병목현상이 빚어졌다.

정부·지자체·경찰이 협의를 통해 서울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녹사평역 구간 도로를 일부라도 통제해 축제 공간을 열어놓고, 시민들이 골목으로 몰리지 않도록 유도했다면 압사 수준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란 아쉬움의 목소리도 있다. 좁은 골목에 몰린 인파 때문에 소방 출동이 지연된 사실도 이런 지적에 무게를 싣는다.

사고 당일 밤 이태원을 방문했던 직장인 문모(36·여) 씨는 “저녁 8시에 골목 인근 식당에 들어갔다가 10시 전에 나왔는데 거리에 사람들이 2배로 불어난 것 같았다”며 “예전 핼러윈 때는 경찰이 나와 통제했던 것 같은데, 이번엔 인파에 가려서인지 보이지 않았다. 통행을 정리해주는 누군가가 있었다면 상황이 다를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서울시 구조구급정책협의회 위원을 맡고 있는 조성환 서울문화예술대 항공보안학과 교수는 “미국 정부는 2001년 9·11테러 공격을 막지 못한 결론을 ‘상상력 부족’으로 정리했다. 10만명 이상 군중이 골목으로 몰릴 것으로 예상하기 어려웠더라도, 상상력 결여가 아쉽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다중운집행사 교통 및 안전관리를 관장하는 자치경찰 조직 또한 형식에 그치는 미비한 실정”이라며 “사회재난 안전관리는 소방과 경찰의 단순 숫자 증원이 아니라, 안전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조직 운용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경찰청 수사본부는 사고 현장 주변에서 확보한 폐쇄회로(CC)TV 영상들을 분석하며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누군가 고의로 밀기 시작했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어 최초 사고 발생 지점 CCTV 영상 분석에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spa@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