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8 (수)

이슈 수돗물 유충 사태

올 여름 부산 수돗물 ‘공업 용수’ 수준 원수 걸러 생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피서철 녹조 떠내려온 바다 - 지난 8월 12일 낙동강에서 녹조가 떠밀려와 초록빛으로 변한 부산 다대포 해수욕장.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여름 부산 시민이 두 달 가까이 공업용수로 쓰일만한 등급의 물을 정수해 씻고 마시는 데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의원실이 부산시로부터 제출받아 공개한 ‘물금·매리 취수장 주변 수질 등급’에 따르면 지난 6~8월 물금 취수장에 총 54일, 매리 취수장에 49일 동안 총 유기탄소량(TOC) 기준 4등급 이하의 물이 공급됐다. 물금 취수장은 4등급(약간 나쁨) 24일, 5등급(나쁨) 22일, 6등급(매우 나쁨) 8일 이었으며, 매리 취수장은 4등급 23일, 5등급 22일, 6등급 4일이었다.

낙동강 녹조 발생으로 물금·매리 지점에 조류 경보 ‘경계’단계가 발령된 지난 6월 23일부터 8월 24일까지 62일 중 두 취수장 모두에 3등급 이상의 물이 공급된 날은 9일에 불과했다. 이 기간에 부산 시민은 4~6등급의 물을 정수해 식수를 포함한 생활용수로 사용했다는 의미다.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은 4등급 물은 농업용수로 쓰거나, 고도정수 처리 후 농업용수로 쓸 수 있는 상태로 설명한다. 5등급은 특수한 정수 처리 후 공업용수로 쓸 수 있고, 6등급은 용존산소가 거의 없는 오염된 물로 물고기가 살기 어려운 상태로 해설하고 있다.

올여름 폭염과 부족한 강수량 영향으로 부영양화가 심각해지면서 물금·매리 취수장 주변의 수질이 더욱 나빠진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대구의 매곡·문산 취수장에 공급되는 원수는 올여름 5등급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는 만큼 낙동강 수질 악화 피해가 하류에 집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낙동강 원수의 수질이 나빠졌음에도 부산시는 고도정수처리를 통해 식수 허용기준을 충족하는 수돗물을 생산했다. 하지만 고도정수처리도 한계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 수돗물평가위원회 수질검사 결과를 보면 시내 정수장 수돗물에서 검출된 총트리할로메탄이 지난 6월에는 ℓ당 0.022㎎이었지만, 7월에는 0.05㎎까지 치솟았다. 트리할로메탄은 물에 포함된 유기물질이 정수 과정에서 살균제로 사용되는 염소와 반응해 생성되는 발암성 물질이다. 허용 기준치는 ℓ당 0.1㎎ 이하다.

박 의원은 “부산의 수돗물은 90% 이상 낙동강 물을 사용해 생산하기 때문에 대규모 낙동강 환경오염에 사실상 무방비안 상태”라면 “시급하게 국비를 확보해 낙동강 녹조 대응 시설을 보강하고, 장기적으로 취수원 다변화를 중단 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 정철욱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