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유엔 北대사 "한미연합훈련, 전쟁 도화선에 불붙여" 맹비난(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 한미 군사연합훈련 비난 연설

전술핵 선제사용 법제화 미국으로 책임 돌려

[아시아경제 유인호 기자]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가 북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이 진행중인 군사연합훈련을 맹비난했다.

압력이 세질수록 "우리(북한) 힘도 강화된다"며 강대강 대치를 예고하기도 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대사는 2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77차 유엔총회 일반토의 연설에서 "미국은 이 시각에도 조선반도 주변에서 매우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는 합동 해상연습을 벌려놓으려 하고 있다"며 "이는 명백히 조선반도 정세를 전쟁 접점으로 몰아가는 도화선에 불을 붙이는 매우 위험천만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김 대사는 이 자리에서 전술핵 선제사용의 법제화를 언급하며 그 책임을 미국에 돌렸다.

그는 "지난 30년간 미국의 간악한 적대정책이 오늘의 현실을 만들었다는 것을 똑바로 알아야 한다"며 "우리에 대한 미국의 적대정책과 군사적 공갈이 가중될수록 이를 억제하기 위한 우리 힘도 강화된다"고 경고했다. 핵무력 정책 법제화를 미국 탓으로 정당화하며 대립각을 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김 대사는 또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대한 유엔의 제재 움직임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 대사는 "미국이 일방적으로 만들어놓고 압박하는 유엔 제재는 인정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인정하지 않을 것"이라며 "안보리가 주권국가의 합법적 권리인 자위권 행사를 논의하는 것 자체가 평등과 내정 불간섭을 명시한 유엔 헌장의 기본 정신을 부정하는 모순적 처사"라고 주장했다.

김 대사는 18분 남짓한 연설 중 한국을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미국과 그 추종 세력’이라는 표현을 여러 번 사용했지만, 문맥상 특별히 한국을 지칭하기보다는 미국의 동맹 세력 전체를 포괄하는 형식을 취했다.

전문가들은 김 대사의 연설 기조는 북·미, 남북 대화 가능성은 낮고 한반도 정세가 강대강 대치 국면에 처해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고 해석했다.

북한은 비핵화는 물론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인도적 지원 논의를 위한 한미 접촉 제의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앞서 지난 20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 역시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은 바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은 모라토리엄 파기를 정당화하면서 자위권을 강조하려 할 것"이라며 "앞으로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 등을 문제 삼아 도발에 나설 수 있다"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핵무력 강화가 빈말이 아님을 대내외에 보여주면서 대내적으로는 김정은 중심의 체제결속에 방점이 있다”며“대외적으로는 미핵항공모함의 한반도 전개 등 한미 확장억제력을 탐색하면서 7차 핵실험의 길닦기용 의도도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한편 주유엔 한국대표부의 배종인 차석대사는 발언을 신청해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은 불법일 뿐 아니라 역내 및 국제 평화와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며 “한미 연합훈련은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핵개발은 미국의 적대정책 때문이라는 북한의 입장을 반박한 것이다.

배 차석대사는 “북한은 안보리 결의상 의무를 이행하는 한편, 모든 도발을 중단하고 비핵화 대화로 복귀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주유엔 북한대표부 관계자는 발언을 신청, “한국 측의 도발적인 언급을 거부한다”며 “북한의 국가 무력 증강 노력은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핵무력 정책 법령 채택은 주권적 결정”이라며 김 대사의 주장을 반복했다.

이어 “한반도 상황에 있어 이미 밝힌 바와 같이 남측과 상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인호 기자 sinryu00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