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확 꺾인 통화량, 코스피 운명 보인다…‘파월 쇼크’에 투자자 시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2일 코스피는 0.63% 하락한 2,332.31, 코스닥은 0.46% 내린 751.41로 장을 마쳤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석 달째 이어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금리 인상 여파로 22일 국내 증시는 하락 마감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Fed가 경기침체에 아랑곳없이 고강도 긴축 기조를 유지할 방침을 확고히 하고 있어 당분간 눈에 띄는 증시 반등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0.63% 내린 2332.31에 장을 마쳤다. 코스닥 지수도 0.46% 떨어진 751.41에 마감했다.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612억원어치, 기관은 2830억원어치를 팔아치웠고, 개인만 홀로 3137억원 어치를 순매수했다.

21일(현지시간) Fed의 '자이언트 스텝' 결정과 제롬 파월 의장의 '매파 발언', 한미 금리 역전(한국 2.5%, 미국 3.0~3.25%)에 따른 원화가치 급락 등의 여파로 투자 심리가 얼어붙은 것이 지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Fed의 통화 정책은) 더 긴축적이거나, 더 오래 긴축적이어야 한다"며 시장과 타협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금리인상→통화량 증가세 줄며 주가 하락



'파월 쇼크'에 국내 투자자 시름도 깊어질 전망이다. '더 오래 긴축적인' 금리 인상에 한국은행도 '키 맞추기'로 대응할 수밖에 없는데, 이는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현금 통화량 증가세를 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증권은 한국은행 올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3.25%로 인상하고 내년 2월 3.5% 인상해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잇따른 금리 인상으로 시중에 통화량이 줄면 현금이 귀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주식·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국내 통화량 증가율 올 들어 코스피와 동반 추락



실제 국내 통화량 증가율은 대체로 코스피와 비슷한 방향성을 보였다. 통화량을 측정하는 광의통화(M2·수시입출금식 예금, 정기예적금 등) 증가율은 지난해 12월(13.6%) 정점을 찍은 뒤 급격히 하락했다. 올해 초부터 계속된 금리 인상 여파 때문이다. 지난 7월 M2 증가율은 8.2%로 코로나19 확산 직전(2020년 2월) 수준까지 떨어졌다. 국내 증시 역시 지난해 하반기부터 하락했다.

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2021년 10월말 기준으로) M2가 약 0.2% 감소하면 코스피 지수는 같은 시점에서 약 2% 안팎에서 하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통화량 증가율 하락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Fed가 물가상승률 2%를 달성할 때까지 계속해서 금리 인상을 단행하겠다고 밝히면서다. Fed는 올해 연말까지 1~1.25%포인트, 내년에는 0.25~0.5%포인트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긴축 기조가 장기화되면 증시로 유입되는 통화량은 줄 수 밖에 없다.



"코스피 최저점 2050선까지도 내다봐"



증권가에선 코스피가 2050선까지 하락할 가능성까지 내다보고 있다. 시중 통화 감소와 함께 경기침체 우려도 더 커진 탓이다. 이자비용이 오르는 환경에선 기업들은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추는 긴축 경영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 이는 실업 증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상 기조를 고려하면 코스피 최저점은 2050선까지 밀려날 수 있다"며 "전략적으로 주식 비중을 줄이고 현금 비중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금융시장이 지금과 같은 고강도 금리 인상을 견디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폴 볼커 Fed 의장이 2년 만에 20%포인트 가까이 금리를 인상했던 1980년대에는 가계·기업 등 시중에 풀린 부채 규모가 크지 않았다. 하지만 지금은 경제주체들이 저금리와 부채를 지렛대(레버리지)로 활용한 투자 환경에 익숙해진 상황이다. 이로인해 지나친 금리 인상이 자산 가격 폭락으로 이어지면서 금융위기 상황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근래 15년 동안 자산 버블(거품)이 부풀어 올랐고, 초저금리와 경제 호황으로 금융 부채가 폭증한 상황"이라며 "임계점을 넘는 금리 인상을 시장이 견딜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