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6G 주도권 전쟁

SKT, 에릭슨과 AI기반 무선망 적응 기술 검증…"6G 진화 초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승한 기자]
머니투데이

SK텔레콤은 에릭슨과 기지국 지능화를 위한 AI 기반 무선망 적응(Link Adaptation) 기술에 대한 성능 검증을 마치고, 해당 기술을 자사 상용망에 본격 적용했다고 15일 밝혔다. /사진=SK텔레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K텔레콤이 이동통신 기지국에 AI(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무선망 성능 향상을 검증했다. 다음 세대 통신 기술인 6G 진화 기반을 마련한 것이다.

SK텔레콤은 글로벌 이동통신 네트워크 제조사인 에릭슨과 기지국 지능화를 위한 AI 기반 무선망 적응(Link Adaptation) 기술에 대한 성능 검증을 마치고, 해당 기술을 자사 상용망에 본격 적용해 네트워크 성능을 고도화한다고 15일 밝혔다.

SK텔레콤이 이번에 적용한 AI 기반 무선망 적응 기술은 기지국의 전파가 닿는 범위인 셀(Cell)과 인접 셀의 상호 전파 간섭효과를 파악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무선 환경 정보를 조합하여 데이터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주변 기지국의 무선자원 활용 정보를 기반으로 목표 품질지표를 상황에 맞게 동적으로 변화시키면 스마트폰 단말이 기지국 범위 안에서 실시간으로 최대 성능을 낼 수 있다.

기존 이동통신 구조에서는 네트워크의 목표 품질지표를 하나의 고정된 값으로 정했다. 이에 기지국 반경 안에 있는 개별 단말기의 무선상태, 장소에 따른 서비스 환경 차이, 시간에 따른 변화를 능동적으로 반영하기 어려웠다.

SK텔레콤은 기존에 보유한 AI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탱고'와 함께 이번에 국내 최초로 기지국 장비에 AI 솔루션을 적용해 첨단화되고 지능화된 네트워크로의 진화 기반을 마련했다. 또 5G 기지국을 기반으로 AI 기술 완성도를 지속적으로 높여갈 계획이며, 나아가 6G 네트워크를 위한 AI 기술 개발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AI 기반 무선망 적응 기술을 상용화하는 등 6G 주요 후보기술을 상용망에 선제적으로 구현해 나가고 있다. 향후 위성통신·오픈랜 등 6G 후보기술의 연구개발도 가속화할 계획이다.

박종관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6G 핵심 기술의 하나인 AI를 통한 무선망 성능 향상은 네트워크 진화에 큰 의미가 있다"며 "5G 네트워크 고도화와 관련된 AI 기술 개발 및 상용화 노력을 지속해 6G 진화의 초석으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