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은 정돈된 바닥에서 서예하기를 선호하지 않아 많을 가구를 들여놓지 않았다. [사진 이종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예실과 손님용 사랑방은 자연스럽게 세월로 물들어 따뜻하고, 고풍스러운 느낌을 선사한다. 한국에서 소나무는 장수와 굳건함을 상징한다. 서예실 외벽 가까이에 심어진 소나무는거주자들에게 행운을 가져다주는 효과를 나타낸다고 한다. [사진 이종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
[퍼즐] 박나니의 한옥 이야기(3)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한옥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고 있다. 회색빛 바다와도 같은 폐쇄적이고 획일적인 콘크리트 아파트 단지에서 자라난 젊은 세대가 이런 주거 방식에 싫증을 느낀 나머지 훨씬 더 개방적이고 다양한 모습을 지닌 우리의 전통 한옥에 시선을 돌리게 된 것이다. 전통적이라고는 하나 요즘 한옥은 한옥의 외관은 유지하되 내부는 현대적인 생활방식에 맞춰 변한 한옥이 많다. 한옥 이야기는 지난 2019년 발간된 책『한옥』에서 다루고 있는 한옥을 독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무무헌
가회동 북촌 일대는 조선시대부터 왕족, 양반, 관료 출신들이 살던 유서 깊은 동네이다. 이러한 가회동 한복판에 위치한 무무헌은 과거가 어떤 형태로 현재 그리고 미래에 맞닿을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한옥이라고 할 수 있다.
본채는 전통적인 미니멀리즘 방식의 미학 구조를 따르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불교적인 느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도(茶道)를 위한 탁자와 방석은 어디든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다. [사진 이종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무채색의 단순 무구한 침실 벽은 집주인의 골동품 목록 속 풍부한 디테일과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사진 이종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문과 길가에 자리 잡은 사랑채, 대문 맞은편에 위치한 안채, 그리고 두 채 사이에 놓인 부엌이 마당을 중심으로 디귿(ㄷ)자 형태를 한 무무헌은 전형적인 도시형 한옥의 구조를 답습한다. 대청마루 한쪽에는 집주인이 서예를 하기 위해 마련한 공간이 있는데, 햇빛이 잘 드는 남향일 뿐만 아니라 집채보다 조금 높게 지어져 서울 도심과 가회동 한옥이 한눈에 들어오게끔 설계됐다.
두 거리의 모퉁이 사이에 위치한 이 고택에서는 다듬어진 석재 사이로 난 계단이 출입구로 쓰인다. 화강암 재료로 바닥을 지탱하는 튼튼한 벽은 지붕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하면서도 붉은색 벽돌과 흰색 석고의 조화가 자아내는 디자인적 아름다움도 겸비한다. 처마 가장자리를 따라 놓여 있는 수막새는 원형 장식으로 아름답게 마감되어 있는데, 이는 빗물이 처마에 고이지 않고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사진 이종근]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나니 작가 puzzletter@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