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한은 "물가 하반기 정점 예상하지만 지연 가능성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정학적 원자재 불안·달러 강세·높은 기대인플레 등 물가위험 요소"

"금리상승·우크라사태 등에 글로벌 성장 둔화…한국 성장 하방압력도 커져"

통화신용정책 보고서 국회 제출…"금리인상 기조 이어나갈 필요"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마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한국은행은 8일 "국내 경기의 하방 위험이 커지고 대내외 여건의 높은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향후 통화신용정책 운영 방향에 대해 이렇게 예고했다.

우선 물가에 대해서는 "유가 전망, 기저 효과 등을 고려할 때 물가 오름세는 올해 하반기 중 정점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상방 리스크(위험)가 작지 않아 정점이 지연되거나 고물가 상황이 지속될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

주요국 1년이내 경기침체 확률 전망 등
[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공급 차질 현상은 다소 완화됐지만, 지정학적 리스크 관련 상황이 악화할 경우 공급 물가 상승 압력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유럽연합(EU) 국가에 대한 러시아 천연가스 공급 중단 등의 영향을 지켜봐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아울러 한은은 민간소비 회복세, 미국 통화정책 긴축에 따른 달러화 강세, 4%를 웃도는 기대인플레이션율에 따른 물가·임금 간 상호작용 등도 국내 물가에 추가적 상방 압력을 줄 것으로 예상했다.

성장과 관련해서는 "상반기까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 모멘텀이 점차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경기 하강의 주요 원인으로는 무엇보다 글로벌 성장 둔화가 꼽혔다. 미국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유로 지역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에너지 수급 차질로, 중국은 코로나19 봉쇄조치와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으로 성장률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계속 오른 기준금리가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올해 하반기부터 나타날 것으로 우려됐다.

한은은 "그동안 쌓인 부채와 높아진 자산 가격이 통화정책 긴축의 영향을 확대할 소지가 있고, 저소득·과다 차입 가계를 중심으로 소비 제약 효과가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택시장의 경우 당분간 대출금리 상승,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하방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가계대출도 대출금리 인상과 주택시장 부진 등과 함께 증가세는 둔화하겠지만, 주택담보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은행 등 금융기관도 가계대출 영업을 강화하는 만큼 하반기에 증가 규모가 다소 커질 가능성은 있다는 게 한은의 관측이다.

연합뉴스

한국은행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
(서울=연합뉴스) 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신용정책보고서 설명회에 최창호 조사총괄팀장(왼쪽부터), 이상형 한국은행 부총재보, 홍경식 한국은행 통화정책국장, 우신욱 정책협력팀장이 참석해 있다. 2022.9.8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한은은 "최근 주택가격이 조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가계대출 증가세도 둔화하고 있지만, 향후 흐름이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며 "누적된 금융 불균형 위험을 기조적으로 줄여나갈 필요성은 여전히 있다"고 덧붙였다.

shk999@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