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한경연 "물가 잡으려면 총 공급능력 확충하고 임금·환율 안정시켜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플레 영향력' 분석
한국일보

2일 서울 시내 전통시장에서 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환위기 사태 이후 가장 높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소비자물가를 안정시키려면 기업들의 공급 능력 확대와 함께 인건비 상승 억제, 환율 안정 등 경제 활력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상반기 소비자물가를 끌어올린 해외 원자재가 상승 등 국외 요인이 안정된 만큼, 국내 인상 요인을 최대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일 '인플레이션 요인별 영향력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는 2005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분기별 생산자물가·소비자물가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초과 수요, 단위 노동비, 수입물가 등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인플레이션을 높인 원인이었던 '국제원자재가 고공행진→생산자물가 상승→소비자물가 상승' 흐름은 완화되는 모양새다. 올해 4월 생산자물가·소비자물가 사이의 차이가 4.9%포인트나 났지만, 3개월 만인 7월 2.9%포인트로 줄었다. 한경연 측은 "수입물가 및 생산자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반영된 결과로, 소비자물가의 추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었다"며 "물가는 9월 중 고점을 찍고 둔화할 전망"이라고 했다.

실제 통계청이 이날 공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5.7% 상승에 그쳤다. 6월부터 두 달 연속 6%대로 치솟은 후 다시 5%대 후반으로 내려선 것이다.

"5, 6% 고물가 지속, 기업 공급 늘려야 경제 활력"

한국일보

주요 물가요인별 소비자물가 영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경연은 그러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의 급증한 유동성과 높은 임금 인상, 인플레 기대 심리,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으로 기존 3%대가 아닌 5, 6%대의 고물가가 당분간 지속된다고 봤다.

물가 안정을 위해선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초과 수요, 단위 노동비 등을 낮춰야 한다고 주문했다. 수요가 공급을 넘어선 상황인 초과 수요가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은 노동비의 2.5배, 수입물가의 5배에 달하기에, 공급 능력 확대가 중요하다고 했다.

①규제 완화, 세 부담 완화 등을 통해 기업의 생산 능력을 확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또 공급 능력 확충은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렵기 때문에 ②과도한 임금 인상을 억제하고, ③무역수지 개선을 통한 환율 안정, ④노동 유연성 제고 등 단기적 대책도 병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한국 경제는 주요 국제원자재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인플레이션 위협에 상시 노출돼 있다"며 "규제개혁, 감세, 노동 유연성 제고 등을 통해 경제 기초 체력과 성장 잠재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관규 기자 ac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