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화물연대 총파업

경비원 구석으로 몰고…화물연대, 하이트진로 옥상 진입한 영상 보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16일 서울 강남구 하이트진로 본사를 점거했다.

중앙일보

16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가 점거 농성을 벌이고 있는 서울 강남구 하이트진로 본사 앞에 에어매트리스가 설치돼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이트진로 측에 따르면 화물연대 조합원 70여 명이 이날 오전 7시쯤부터 서울 강남구 청담동 하이트진로 본사 옥상과 로비에서 점거 농성에 들어갔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오늘(16일) 오전 6시10분쯤 화물연대 소속 인원들이 경비 요원을 막아서면서 본사에 진입했다”면서 “한동안 조합원들이 본사 직원들의 출근을 막다가 길을 열어줘서 들어갔지만 건물 출입이 자유롭지 않다”고 말했다.

현장 로비에 설치된 폐쇄회로TV(CCTV)에는 경비원이 회사 출입문 바깥 확인을 위해 잠시 밖으로 나간 틈을 타 노조원 한 명이 로비로 들어오는 모습이 담겨 있다. 경비원이 이를 제지하려고 하자 다른 노조원이 달려들어 경비원을 구석으로 몰았다. 이후 노조원들이 건물 안으로 들어오는 모습이 보인다.

현재는 신고를 받고 경찰이 출동한 상태다. 경찰 관계자는 이날 오후 6시 현재 “기동대 4개 인력(240명)을 투입해 12시간 가까이 대치 중”이라고 밝혔다. 일부 조합원은 시너를 갖고 있다는 말이 돌고 있다. 강남소방서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에어매트를 설치했다.

중앙일보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점거는 운송료 인상 등에 대한 하이트진로와 화물연대 간 입장 차이 때문에 발생했다. 양측 갈등은 수개월째 이어지면서 격화하고 있다.

앞서 하이트진로 경기 이천공장·충북 청주공장의 화물 운송 위탁사인 수양물류 소속 화물차주 132명은 지난 3월 화물연대에 가입한 뒤 운송료 인상 등을 요구하며 파업을 시작했다. 수양물류는 하이트진로가 지분을 100% 보유한 계열사다.

지난 6월 화물연대와 수양물류 간 첫 협상 테이블이 마련됐으나 그사이 화물연대 소속 일부 조합원이 계약해지 통보를 받았다. 하이트진로 측은 “수양물류가 계약해지통보를 (조합원) 132명 중 주요 (파업) 가담자 12명에게 했다”고 밝혔다.

하이트진로는 조합의 주요 간부 및 조합원 일부를 상대로 업무방해 등 공동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으로 28억원을 청구했다.

중앙일보

16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조합원 일부가 하이트진로 본사 건물 앞에서도 시위를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화물연대는 지난달 22∼23일 두 공장에서 700명 정도가 참여한 가운데 집회를 진행했다. 이달 2일부터는 강원 홍천에 있는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에서도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집회가 이어진 하이트진로 3곳 공장에서는 소주·맥주 등 주요 제품의 출하가 한동안 중단되기도 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화물연대 측은 홈페이지 등을 통해 “매년 물가는 오르는 데 15년째 제자리인 운송료를 올려달라 하니 돌아온 건 집단해고, 수억원의 손배·가압류”라고 주장했다. 또 “화주사인 하이트진로는 위탁 운송사와 화물노동자 간의 문제라며 관계없다고 하지만 위탁 운송사인 수양물류는 하이트진로의 계열사”라고 덧붙였다.

조합원들은 손배 가압류 철회와 전원 복직, 운임 현실화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본사 점거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지금은 현 불법 점거 사태 해결이 우선이고 이후 대응은 향후 논의가 될 것”이라면서도 “노조의 대화 파트너는 노동자들과 계약했던 수양물류”라고 강조했다.

백일현 기자 baek.ilhy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