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7 (금)

통풍 재발될까 걱정일 때 맥주 대신 먹어야 할 '이것' [헬시타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육대 윤미은 교수팀, 국내 성인 남성 6579명 분석 결과

혈중 요산수치 높은 그룹에서 식이섬유·칼슘·엽산 농도 낮아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풍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혈중 요산 수치가 높으면 식이섬유·칼슘·엽산(비타민 B군의 일종)을 보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일·채소 섭취가 혈중 요산 수치를 낮추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미다.

1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삼육대 식품영양학과 윤미은 교수팀이 2016∼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성인 남성 6579명을 대상으로 혈중 요산 수치에 따른 각종 생리 지표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최근호에 소개된 논문에 따르면 혈중 요산농도는 나이가 들수록 낮아졌다. 10~29세의 평균 혈중 요산 농도는 6.3㎎/㎗, 30∼49세는 6.1㎎/㎗, 50∼64세는 5.7㎎/㎗이었다.

윤 교수팀은 개별 혈중 요산 수치를 기준으로 연구에 참여한 성인 남성을 △1그룹 1.1∼5.2㎎/㎗ △2그룹 5.3∼6.0㎎/㎗ △3그룹 6.1∼6.8㎎/㎗ △4그룹 6.9∼13.1㎎/㎗ 등 네 그룹으로 나눴다. 이후 혈중 요산 수치가 높은 4그룹 남성의 식이섬유·칼슘·엽산 섭취량이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 결과 4그룹 남성의 하루 평균 식이섬유 섭취량은 25.3g으로, 1그룹(26.9g)·2그룹(27.5g) 남성보다 적었다. 하루 평균 칼슘 섭취량도 4그룹 남성이 555㎎로 3그룹(590㎎)·2그룹(588㎎) 남성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은 대한민국 국민이 가장 부족하게 섭취하는 미네랄이다. 하루 700㎎ 이상 섭취가 권장된다. 비타민 B군의 일종인 엽산의 하루 평균 섭취량도 4그룹이 341㎍로 2그룹(362㎍)·3그룹(364㎍)·1그룹(365㎍)보다 적었다.

윤 교수팀은 논문에서 “식이섬유·칼슘·엽산의 상대적인 섭취 부족이 혈중 요산 수치 증가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며 “식이섬유·칼슘·엽산은 과일·채소의 섭취를 늘렸을 때 섭취량이 증가하는 영양소”라고 지적했다.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혈중 요산 수치가 높을수록 식이섬유 섭취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고요산혈증 등 혈중 요산 수치가 높으면 만성 신장질환·비만·고혈압·당뇨병·심혈관질환 등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요산의 증가는 대사증후군의 원인이자 결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맥주 애호가들의 고질병으로 여겨지는 통풍은 혈중 요산이 포화 상태를 넘어선 것이 원인이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경진 기자 realglasses@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