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주호영 비대위' 구성 안갯속…'만남' 거부한 이준석 돌발 악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비대위원 하마평 이어지지만…임시체제 한계로 참여 '머뭇'

가처분신청 李, 13일 기자회견…법적 다툼에 여론전 나설 듯

뉴스1

주호영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11일 폭우 피해를 입은 서울 동작구 사당동의 한 빌딩 지하에서 수해 복구 자원봉사를 하며 땀을 닦고 있다. 2022.8.11/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비대위 구성과 이준석 대표의 반발이라는 두 가지 숙제를 떠안았다.

조속한 비대위 구성을 계획했지만, 주요 인사들이 거부감을 드러내면서 비대위 구성은 난항을 겪고 있다. 당 내홍 수습을 위해 제안한 이준석 대표와의 만남도 성사되기 어려워 보인다. 이래저래 시작부터 난항에 빠진 모습이다.

12일 여권에 따르면 비대위 구성은 다음 주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당초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비대위원 임명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지만, 인선에 난항을 겪으면서 일정이 다소 지연되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 100일을 맞이하는 17일을 비대위 구성 시한의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여권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당 내홍을 수습하면서 윤석열 정부를 지원하는 모양새를 갖추겠다는 의도에서다.

앞서 주 위원장은 비대위를 9명으로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본인과 권성동 원내대표, 성일종 정책위의장 등 당연직 2명을 제외한 6명의 비대위원이 추가 인선될 예정이다.

6명의 비대위원은 당내 인사와 당 외 인사가 절반씩 발탁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여성과 청년도 1~2명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성별을 고려하고 이준석 대표 해임에 대한 청년층의 반발을 고려한 인선이다.

하지만 구체적 진척은 보이지 않고 있다. 초선에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비서실 정무팀장을 지낸 정희용 의원을 비롯해 조은희·박수영 의원 등이 거론됐다. 재선 그룹에서는 주 위원장의 원내대표 시절 원내수석부대표를 맡은 김성원 의원이 언급된다.

여성인 김정재 의원, 재선모임 간사 정점식 의원도 후보군으로 꼽힌다. 원외 인사로는 한국개발연구원(KDI) 출신 경제 전문가인 윤희숙 전 의원이 거론된다.

하지만 이들 중 대부분은 아직 제안을 받지 않았거나 비대위 참여에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진다. 비대위는 차기 전당대회를 위한 임시체제로, 이런 비대위에 참석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다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하마평에 오른 한 의원은 "조기 전당대회로 가는 것이 바람직한 수순"이라며 "지금 비대위에 참여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일부 인사는 비대위가 아닌 전당대회 출마를 고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 외에도 친윤계 인사의 비대위 참여 여부도 관심사다. 당정 관계를 감안하면 친윤계를 완전히 배제할 순 없으나, 참여 규모가 커지면 비윤계가 거세게 반발할 수 있다. '내부총질' 문자 메시지 유출로 책임론이 불거진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 권 원내대표의 거취도 고심거리다.

이 대표의 반발도 비대위에 적잖은 부담이다. 주 위원장은 비대위원장에 임명된 9일 이 대표를 만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앞서 법적 다툼을 예고한 이 대표와 만나 추가적인 당 내홍을 막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같은 날 가처분신청을 예고한 이 대표는 다음 날 10일 가처분신청을 했다. 11일에는 비대위에 반대하는 국바세(국민의힘 바로 세우기)도 가처분신청을 하며 이 대표에 힘을 보탰다.

비대위가 출범과 함께 법적 다툼에 접어들면서 주 비대위원장의 '만남' 제안도 성과를 거두기 어려워 보인다. 이날 이 대표는 한 언론을 통해 주 비대위원장과 만나지 않겠다는 뜻을 전했고, 이 대표 측 인사 역시 이 대표가 현재 지역을 방문하고 있다며 두 사람의 만남이 사실상 불발됐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 대표는 13일 기자회견을 예고하고 있다. 앞서 비대위 출범이 가시화하자 윤석열 대통령을 직격했던 이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도 강도 높은 발언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법적 다툼과 함께 비대위, 윤 대통령을 둘러싼 여론전까지 전개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pkb1@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