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물 들어왔지만 노 저을 사람이 없다…조선소 인력 이탈 가속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불확실성 속 실질 임금 하락…9월께 9천500명 인력 부족

'퇴사 러쉬'에도 대책 묘연…"정부까지 십시일반 노력해야"

연합뉴스

조선소
[연합뉴스TV 캡처]



(거제=연합뉴스) 한지은 기자 = "이 월급으로 끝까지 남을 사람이 있을까요?"

대우조선해양 13년차 사무직 A 대리는 29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친 목소리로 말했다.

A 대리는 "산업은행 채권단 관리하에 들어온 이래로 임금 상승률은 7년간 1∼2%에 머물렀다"며 "상여금이 빠지니 연봉은 입사 초기보다 1천만원 이상 줄었다"고 호소했다.

그는 동료들의 줄지은 퇴사에도 애사심과 지역 연고 등을 이유로 남아있는 직원 중 하나다.

대우조선에서는 올 상반기 사무기술직에서만 180명 가까이 퇴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중공업과 인수합병이 무산된 이후 내부에서 '언제까지 버티라는 거냐'는 반발이 심화한 결과다.

뒤숭숭한 분위기를 깨기 위해 대우조선이 임금 개선을 논의하는 '사람중심경영 추진 태스크포스(TF)'를 꾸리는 과정에 하청업체 노동조합 파업 사태가 터졌다.

하청노조의 불만도 같았다.

장기 불황으로 미뤄온 임금 현실화가 시급하다는 것이다.

하청노조는 당초 제시한 임금 30% 인상안에 대해 "지난 5년간 실질 임금이 30%가량 하락했고, 현재는 최저임금 수준"이라며 인상이 아닌 현실화를 요구한 셈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연합뉴스

조선소 현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일감 부족과 저임금 구조 속에 조선소 인력은 2015년부터 꾸준히 감소했다.

대우조선 직영 인력은 2015년 1만3천290명에서 2016년 1만1천137명으로 떨어진 뒤 올해 5월 8천294명을 기록했다.

하청 인력의 경우 감소세가 더욱 뚜렷하다.

2015년 3만4천107명에서 2016년 2만3천913명, 2017년 1만7천548명으로 추락하다 현재는 1만명 가량이 일한다.

삼성중공업 역시 직영은 2015년 1만3천177명에서 최근 8천161명으로, 하청은 2015년 2만5천500명에서 최근 1만명 가량으로 줄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올해 9월이면 약 9천500명의 생산인력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20년간 조선소 하청업체에서 용접공으로 일하다 2018년 거제를 떠난 윤모 씨는 이에 대해 "사람 귀한 줄 모르고 힘들 때 내친 결과"라고 비판했다.

윤씨는 "해고할 땐 언제고 인제 와서 인력난이라며 재고용을 이야기하는데, 들여다보면 임금 수준은 구조조정 때와 비슷하다"며 "힘들고 위험한 현장에서 참고 참으며 일하다 업계를 떠난 노동자들은 조선소를 더는 믿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실제로 8개 조선사 노조가 모인 조선업종노조연대가 정규직 노동자를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1천5명 중 88%가 "떠난 조선소 노동자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조선소 현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퇴사 러쉬'가 계속되는 가운데 조선소는 물 들어왔지만 노 저을 사람이 없는 상황에 부닥쳤다.

임금 인상이 답이라는 걸 모두가 알고 있지만 뚜렷한 대책은 묘연하다.

긴 불황 터널을 갓 빠져나온 업계가 이를 결단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

경남대 김영훈 조선해양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수주량 증가에도 현재 경영 수지는 마이너스이고,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경영적인 측면에서 임금 인상 요인이 많지 않다"며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당장 임금 인상으로 보상하기는 어렵지만, 자녀 교육, 금융 등 다른 지원책을 고안해볼 필요가 있다"며 "대우조선의 경우 기업뿐만 아니라 지자체와 산업은행, 정부가 십시일반으로 노력한다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contactj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