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정밀 조사 나서
<앵커>
대전에 있는 한 병원 검진센터에서 수면내시경을 받던 40대 남성이 숨졌습니다. 사망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유족과 병원 측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TJB 양정진 기자입니다.
<기자>
구급차 한 대가 빠르게 지나가더니 한 남성이 들것에 들려 나옵니다.
지난 26일 낮 12시 30분쯤, 대전 서구 둔산동의 한 병원에서 45살 김 모 씨가 수면내시경을 받다가 호흡 곤란 증세를 보인 것입니다.
유가족들은 마취제인 프로포폴을 3번이나 투여하는 등 센터의 대처가 잘못돼 숨졌다고 주장합니다.
[유가족 : 약물도 생각보다 많이 투여된 것 같고 (산소포화도가) 84로 떨어지는 과정에 아무런 조치를 안 한 부분도 문제라고 생각하고요.]
반면 병원 측은 처음에 프로포폴을 100mg 투여한 뒤 마취가 잘 되지 않아 20mg을 추가로 2회 투여했고, 100kg가 넘는 김 씨의 무게를 볼 때 기준에 부합하는 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경찰은 정확한 사인을 밝히기 위해 1차 부검을 진행했지만, 천공 같은 이상 소견을 발견하지 못해 사망 원인을 두고 정밀 조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수면내시경 도중 숨지는 경우는 독일 조사에 따르면 10만 명 당 4명꼴, 국내에서는 2년 전 서울, 2017년 울산 사례 등 드물게 나타납니다.
전문가들은 검진 대상자가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으면 정해진 양의 마취 약물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기저질환이 있다면 의료진에 반드시 알려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TJB 양정진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대전에 있는 한 병원 검진센터에서 수면내시경을 받던 40대 남성이 숨졌습니다. 사망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가운데, 유족과 병원 측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TJB 양정진 기자입니다.
<기자>
구급차 한 대가 빠르게 지나가더니 한 남성이 들것에 들려 나옵니다.
지난 26일 낮 12시 30분쯤, 대전 서구 둔산동의 한 병원에서 45살 김 모 씨가 수면내시경을 받다가 호흡 곤란 증세를 보인 것입니다.
심정지 상태였던 김 씨는 심폐소생술을 받으며 인근 대학병원으로 옮겨졌지만 결국 1시간 뒤 사망 판정을 받았습니다.
유가족들은 마취제인 프로포폴을 3번이나 투여하는 등 센터의 대처가 잘못돼 숨졌다고 주장합니다.
[유가족 : 약물도 생각보다 많이 투여된 것 같고 (산소포화도가) 84로 떨어지는 과정에 아무런 조치를 안 한 부분도 문제라고 생각하고요.]
반면 병원 측은 처음에 프로포폴을 100mg 투여한 뒤 마취가 잘 되지 않아 20mg을 추가로 2회 투여했고, 100kg가 넘는 김 씨의 무게를 볼 때 기준에 부합하는 양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병원 관계자 : (산소포화도가) 갑자기 떨어지니까 올리는 약 주입을 했고 그래도 이제 안되니까 119에 신고하고….]
경찰은 정확한 사인을 밝히기 위해 1차 부검을 진행했지만, 천공 같은 이상 소견을 발견하지 못해 사망 원인을 두고 정밀 조사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수면내시경 도중 숨지는 경우는 독일 조사에 따르면 10만 명 당 4명꼴, 국내에서는 2년 전 서울, 2017년 울산 사례 등 드물게 나타납니다.
전문가들은 검진 대상자가 자신의 몸 상태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으면 정해진 양의 마취 약물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컨디션이 좋지 않거나 기저질환이 있다면 의료진에 반드시 알려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또 마취 전문의가 없는 곳일 경우 응급 대처 능력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TJB 양정진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