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尹 대통령 "靑, 국민복합예술 공간으로…문화의 공정한 접근 기회 보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 장관의 첫 새정부 업무보고를 받으며 "본관과 영빈관 등 청와대 공간이 국민의 복합문화예술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기획해 달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집무실에서 박 장관과 독대한 가운데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날 첫 업무보고를 진행한 박 장관은 보고 후 브리핑을 통해 ▲살아 숨 쉬는 청와대 ▲ 케이(K)-콘텐츠가 이끄는 경제 도약 ▲자유의 가치와 창의가 넘치는 창작환경 조성 ▲문화의 공정한 접근 기회 보장 ▲문화가 여는 지역 균형 시대를 보고하고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박 장관은 첫 번째 보고로 청와대 개방과 관련한 2단계 계획을 윤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박 장관은 "청와대 개방은 권위주의 정치문화와 결별하겠다는 대통령의 위대한 역사적인 결단"이라며 "오랜 세월 위업적인 풍모로 존재했던 청와대 본관은 이제 국민 품속에서 팔작지붕의 전통적 건축미를 뽐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장관에 따르면 청와대는 원형 보존의 원칙 위에 문화예술을 접목해 국민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청와대'로 조성할 계획이다.

청와대라는 거대한 공간을 콘텐츠로 분류하면 문화예술로서 600여점이 넘는 소장 예술품이 있고, 역사 현장으로서 본관과 관저가, 1993년에 헐린 옛 본관의 흔적이 존재한다. 또, 5만여 그루의 수목을 비롯해 통일신라시대의 불상부터 고려·조선시대의 유적이 있다.

박 장관은 "청와대의 콘텐츠와 건축물을 매력적으로 조합해 청와대를 살아 숨 쉬게 만드는 것이 청와대 2단계 개방의 컨셉"이라며 청와대 아트 콤플렉스 구축과 관저 및 영빈관의 전시 공간 활용 등으로 꾸밀 예정이다.

이와 함께 K-컬처의 영향력이 바로 K-콘텐츠의 탁월한 경쟁력을 의미한다는 관점에서 현재 여러 가지 지원책 중 콘텐츠의 미래를 결정할 인재 양성에도 적극 나서며 콘텐츠 융복합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미래 인재를 3년간 1만명 양성을 위해서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마련해 추진한다.

이밖에 문화의 공정한 접근 기회, 장애인 문화예술을 꽃피우기 위한 지원 계획 수립, 지역 균형 문화시대를 비롯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사업자에 자체등급분류제를 도입하는 등 국내 토종 OTT 플랫폼을 꾸미는 사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규제 완화 대책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박 장관에게 "청와대의 기존 소장 작품뿐 아니라 국내의 좋은 작품들을 많이 전시해 국민이 쉽게 감상할 수 있게 해 달라"며 "문체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문화생활의 공정한 접근 기회를 보장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문체부와 산하기관의 예술작품 구매 예산 집행 시 장애인 작가와 신진 작가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해서 이들의 작품을 우선 구매할 수 있도록 해달라"며 "장애인 작가, 신진 작가, 청년 아티스트들의 전시 공연 공간을 많이 확보해 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해 소진된 영화발전기금을 대폭 확충하고, 문화상품 소비 지출에 대한 소득공제와 청년과 취약계층에 대한 문화상품바우처를 확대하라"며 "현재 기획 중인 이건희 컬렉션을 비롯한 국가 보유 미술품들의 지방 순회 전시를 활성화해 모든 지역이 균형 있게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는 데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