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원에서 가장 잘생긴 호랑이, 용맹한 모습으로 박제되다
경기도 과천시 서울대공원의 수장고. 어두운 수장고의 불을 켜자 용맹하게 뛰어오르는 호랑이와 마주했다. 들어 올린 앞발에서 위압감이 느껴졌다. 살아생전 싸움 꽤 했던 듯 콧잔등의 상처가 선명하게 보인다. 서울대공원의 훈남이었던 시베리아 호랑이 ‘코아’는 윤지나 박제사(34)의 손에서 다시 포효하고 있었다.
지난 2018년 자연사한 호랑이 코아는 동물원에서 가장 잘생긴 호랑이로 불렸었다. 윤 박제사의 손끝에서 다시 용맹함을 찾은 코아의 모습은 수장고에서 만나 볼 수 있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마네킹 모형 작업중인 윤 박제사.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제는 생을 마감한 동물을 후처리하여 표본으로 제작하는 것을 뜻한다. 서울대공원은 전국 동물원 중에서 유일하게 표본 제작실을 설치하고 ‘연구, 교육’ 목적으로의 박제 표본을 제작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10년 넘게 무지개다리를 건넌 동물들에게 새 생명을 불어넣는 윤 박제사가 있다.
운 박제사가 산양의 마네킹 작업을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미술학도에서 박제사로 윤 박제사는 예중, 예고를 거쳐 미대 조소과에 진학했다. 일찌감치 진로를 정했음에도 ‘정말로 좋아하는 일’에 대한 고민이 계속됐다. 전공 대신 수의과 연구실을 더 자주 찾았다. 유난히 동물을 좋아한 탓이었다. “동물 골격 표본을 마주한 순간 ‘이거다!’ 싶었습니다. 동물의 움직임에 탐닉했고 그것을 재현하는 탄탄한 미술 실력까지 갖췄으니까요” 그는 박제를 ‘예술과 과학의 만남’이라고 정의했다.
캐나다 박제 챔피언 켄 워커와 함께 코요테 박제를 함께한 순간. 캐나다에서는 코요테가 유해동물로 지정되어 개인의 사냥과 박제 활동이 가능하다. 윤 박세사는 워커를 만나고 나서 동물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실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했다. 사진 윤지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베리아 호랑이 코아와 한울이. 시베리아 벌판을 표현한 생태환경 디오라마에는 개체의 발자국도 생태 특성을 파악해 표현했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제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에 항변하다 흔히 박제라고 하면 ‘밀렵꾼의 전리품’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떠오르곤 한다. “8~90년대 까지만 해도 총포사에는 기괴한 모습의 꿩이 걸려 있기도 하고, 과시를 위한 박제가 많았죠” 수렵이 제한되고 동물보호법이 강화되면서 이런 모습을 찾기 힘들어졌다. 국내 동물원과 생물자원관 등에서 이뤄지는 박제작업은 이와는 궤를 달리한다. “단순히 멋진 모습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닙니다. 해부학적으로 정확하게 동물의 습성과 생태를 잘 나타내고, 자연을 완벽하게 고증한 표본 제작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자연사한 동물들만 표본으로 제작하고 천연기념물의 경우 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증이 있어야만 박제를 할 수 있다.
윤 박제사가 수장고의 수달 표본을 관리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북한에서 선물로 서울대공원에 온 개스냥이. 뼈다귀를 물고 노는듯한 장난스런 모습으로 기록했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현재 작업중인 눈표범(설표).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양잇과 동물에 매료 그는 바다쇠오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7~800점 정도의 표본을 제작했다. 박제 표본 외에 골격, 모피 표본을 포함한 수치다. 포유류가 주 종목이고 특히 고양잇과 동물을 좋아한다. 수장고 가운데 자리를 차지하는 시베리아 호랑이 코아와 한울이, 임인년 호랑이해를 앞두고는 서울대공원의 터줏대감 강산이를 표본으로 재탄생 시켰다(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난 강산이는 지난 2019년 15살의 나이로 자연사했다.) 현재는 눈표범(설표)을 작업 중이다.
윤 박제사가 눈표범 박제를 재현하기 위한 미니 마네킹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작업전에 작은 사이즈로 대략의 작업 모습을 유추한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동물 박제와 기타 표본이 자리한 수장고는 리모델링을 거쳐 보이는 수장고로 새롭게 선보였다. 사전 교육 예약자에 한해 보이는 수장고를 관람할 수 있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박제는 죽음보다 생명을 마주하는 일 그에게 박제 작업을 할 때 애잔한 마음이 들지 않느냐고 물었다. 돌아온 대답은 “박제사는 사육사가 아닙니다”였다. 감정에 빠져 작업하지 않는다고 했다. 다만 정성스런 태도. 그 마음이 우선이라고 했다. 이어 “과학적인 대상입니다. 끊임없이 공부하고 연구해야 하죠”라며 박제 작업을 후대를 위한 사명감이라고 표현했다. “표본의 중요성을 깨닫는 데에는 한 세기 이상이 걸린다고 합니다. 100년 후에도 아이들이 생생함을 느꼈으면 좋겠어요”
동물 박제와 기타 표본이 자리한 수장고는 리모델링을 거쳐 보이는 수장고로 새롭게 선보였다. 사전 교육 예약자에 한해 보이는 수장고를 관람할 수 있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수장고 한 켠에 공개된 코리끼 뼈무덤.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보이는 수장고에 자리한 갈라파고스 거북 표본. 장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동물이 가진 아름다움을 완벽하게 재현하려 고민하다 보면 오히려 ‘생명’이 느껴진다고 했다. “가끔 온기를 느낄 때도 있고요. 설표의 손가락을 눌러 보았더니 숨겨져 있던 발톱이 드러날 때 그 치명적인 무기에 감탄합니다. 오랑우탄의 손은 잡았을 땐 손톱이나 주름이 사람과 너무 비슷해서 마치 크고 시커먼 할아버지 손을 잡은 듯한 기분을 느끼기도 했고요”
장진영 artjang@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