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이슈 세계와 손잡는 K팝

짝퉁 판치는 온라인…손흥민 유니폼, K팝 굿즈도 먹잇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특허청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적발한 온라인 판매 짝퉁 제품들. 명품 가방. [사진 특허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유통 채널이 무분별한 짝퉁 판매로 몸살을 앓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거래가 늘어난 데다, 온라인에 친숙한 20·30세대의 명품 소비가 많이 증가한 여파로 풀이된다.

중앙일보

특허청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적발한 온라인 판매 짝퉁 제품들. 유명 브랜드 운동화. [사진 특허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른바 ‘온라인 짝퉁’ 거래가 가장 활발한 곳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다. 4일 특허청 등에 따르면 SNS에서 위조상품을 취급하는 판매자들은 브랜드 이름을 유추할 수 있게 ‘샤(넬) 가방’ ‘루이(비)통 신발’, ‘(나)이키 세트’ 같은 이름을 붙여 제품 사진을 게재하고, 구매자와는 다이렉트 메시지(DM), 카카오톡 등으로 거래를 진행한다. SNS가 사진 등 상품정보를 올리기 편리하고, 개인 간 거래는 단속이 어려워 적발 시에도 판매 증거를 감추기 수월하다는 이유에서다.

중앙일보

특허청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적발한 온라인 판매 짝퉁 제품들. 방탄소년단(BTS)의 굿즈(기획상품). [사진 특허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구매자들은 대부분 이런 상품이 위조 상품인 줄 알면서도 돈을 지불했다. 가격이 터무니없이 싸고, 일부는 제품 사진에 대놓고 ‘짝퉁’ 티를 드러내지만 ‘모조품이라도 명품을 소비하고 싶다’는 과시욕에 제품을 구매한다. 진품인 줄 알고 구매했다가 피해를 보는 경우도 적지 않다. 대기업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조모(41)씨는 “나중에 보니 게시물에 #레플리카(위조상품을 뜻하는 해시태그)가 있었다”며 “판매자에게 쪽지를 보냈지만 ‘진품이라고 광고한 적이 없고, 단순변심으로 인한 환불은 어렵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토로했다.

중앙일보

특허청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적발한 온라인 판매 짝퉁 제품들. 인기 걸그룹 휴대전화 액세서리. [사진 특허청]


특허청 ‘온라인 위조상품 재택 모니터링단’이 오픈마켓·포털사이트·SNS 등에서 거래되는 위조상품을 단속한 통계를 보면 2020년 12만6542건이던 온라인 짝퉁 게시물은 지난해 17만1606건으로 1년 새 35.6% 급증했다. 2019년부터 올해 4월까지 누적으로 보면 총 44만8744건을 적발해 판매를 중지시켰는데, 이를 통해 3조8848억원의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를 냈다. SNS에서의 적발이 전체의 44.8%(19만8979건)를 차지했고, 오픈마켓이 27.9%(12만5237건), 포털사이트가 27.8%(12만4528건)였다.

중앙일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품목별로는 가방·의류·신발이 전체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가방이 14만5536건으로 가장 많고 의류(12만7747건), 신발(7만4716건), 지갑(2만8796건) 순이었다. 상표별로는 구찌·루이비통·샤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침해된 상표권은 총 690개나 됐다. 최근에는 명품 외에 K팝 스타의 굿즈(문구·잡화·의류 등 기획 상품), 유명 운동복 등의 짝퉁 판매도 늘고 있다는 게 특허청의 설명이다.

중앙일보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특허청은 2022 카타르 월드컵을 앞두고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 득점왕에 오른 손흥민 선수의 토트넘 유니폼, 국가대표 유니폼 및 유명 브랜드를 위조한 상품의 유통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해 이달 20일까지 위조 스포츠의류의 온라인 유통을 집중 단속하기로 했다.

위조 상품의 무분별한 유통은 건전한 패션산업 발전을 저해하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침해한다. 상표권자와 온라인 플랫폼 간 갈등 소재로도 부상하고 있다.

김영배 특허청 상표특별사법경찰 과장은 “온라인 위조 상품은 상표권자의 브랜드 가치를 깎아내릴 뿐 아니라 한국의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하고, 상습·대량 판매자에 대해서는 특허청 상표 특법사법경찰의 수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