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6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기대인플레이션율은 3.9%로 5월(3.3%)보다 0.6%포인트나 올랐다. 2012년 4월(3.9%) 이후 10년 2개월 만에 가장 높다. 특히 월간 상승폭 0.6%포인트는 2008년 관련 통계를 편제한 이후 최대 기록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향후 1년의 예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말하는데, 현재 시점에서 일반 소비자들이 앞으로 1년간 4% 정도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본다는 뜻이다. 기대인플레이션율 수준이 계속 높아진다는 것은 물가가 정점을 통과하는 시점이 더 늦어질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6∼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는 13년 9개월만에 가장 높았던 5월의 5.4%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소비자심리지수 추이. 한국은행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대인플레이션 3.9%라는 숫자도 이례적이지만 더 큰 문제는 상승 속도가 빠르다는 점이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과거에도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7월부터 2009년 7월까지, 경기 회복 과정에서 일본지진과 유럽 재정위기 등이 겹친 2011년 3월부터 1년 정도 기대인플레이션율이 3.9%를 넘어 4%대에 이른 적이 있었다”며 “하지만 0.6%포인트 상승 속도는 과거보다 빠르다고 생각된다. 인플레이션(물가오름세), 미국 빅 스텝(0.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 등 관련 뉴스를 예전보다 많이 접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처럼 향후 물가 상승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 경제주체들은 전망에 따라 상품이나 서비스 가격을 높여 물가 상승을 더 부추길 우려가 있다.
동시에 소비심리는 크게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물가 상승 심리가 확산하는 동시에 부정적 경기 전망도 커진 것이다.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 우려되는 지점이다.
6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6.4로 5월(102.6)보다 6.2포인트 떨어져 2021년 2월(97.2) 이후 1년 4개월 만에 처음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 CCSI가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1년)보다는 소비심리가 낙관적이라는 뜻인데, 100 밑으로 내려왔다는 것은 소비자심리가 ‘비관적’으로 돌아섰다는 의미다.
5월과 비교해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가 모두 한 달 전보다 낮아졌다. 특히 향후경기전망(69)이 무려 15포인트나 추락했고, 현재경기판단(60)도 14포인트나 떨어지는 등 경기 판단과 관련한 지표가 급락했다. 황 팀장은 “체감 물가 상승, 미국의 긴축 등으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자 심리도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금리수준전망지수(149)는 한달 새 3포인트 올라 역대 기록을 세웠고, 주택가격전망지수(98)는 1개월 사이 13포인트나 떨어져 기준선을 밑돌았다.
한은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억눌렸던 민간 소비는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황 팀장은 소비자심리지수 전망에 대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국 금리 인상 등 우리가 조절할 수 없는 외부 요인이 많아 불확실성이 크다”며 “다만 거리두기 해제 이후 소비가 매우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내수가 받쳐준다면 소비자심리지수 하락을 막을 수 있을 것 같다. 유류세 인하 등 물가 대책도 체감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3∼20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 [뉴스레터]좋은 식습관을 만드는 맛있는 정보
▶ ‘눈에 띄는 경제’와 함께 경제 상식을 레벨 업 해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