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코로나19' 6차 대유행

코로나19 재유행 대비, 정신병원 등 방역체계 확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일반의료체계 전환, 정신건강증진시설 대응방안’ 내놔

정신건강증진시설 확진자 전체 0.2% 차지

감역취약시설, 지자체에서 예방·조사 대응

[이데일리 박경훈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재유행에 대비해 집단감염에 취약한 정신건강증진시설 방역체계 확충에 나선다.

이데일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만 463명을 기록한 29일 오전 서울역 코로나19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29일 ‘일반의료체계 전환에 따른 정신건강증진시설 대응방안’을 내놨다. 감염에 취약한 정신병원·시설을 선정해 대응책을 마련하고 치료병상, 이송자원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정신건강증진시설은 대표적 3밀(밀집·밀접·밀폐) 기관으로 감염에 취약하고 집단감염으로 빠르게 확산되는 특징이 있다.

지난 25일까지 전체 코로나 확진자 중 정신건강증진시설 내 확진자는 누적 3만 7874명으로 전체의 0.2%를 차지한다. 환자와 종사자를 합친 수치다.

정부는 코로나 대응을 일반의료체계로 전환하면서 정신건강증시설 관련 대응도 중앙사고수습본부·국립정신병원 중심에서 현장·지자체 중심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감염취약시설’로 관리가 필요한 정신건강증진시설을 보다 명확히 규정하고 시·도 및 시군구에서 예방, 조사 및 대응을 실시한다. 각 시·도는 관할 지역 내 감염병전담정신병원 지정 사례 등을 활용해 정신질환자 치료병상 및 이송 자원을 사전에 확보할 예정이다.

확진자 통계 관리 강화를 위해 시·도에서 발생 현황을 집계해 매주 1회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보고한다. 집단감염 2회 이상 발생 54개 정신의료기관을 대상으로는 감염관리 실태점검에 나선다.

질병관리청을 중심으로 100병상 이상 정신병원 233개소에 감염관리위원회 및 감염관리실 설치·운영 여부를 점검하고, 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감염관리 교육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