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통화·외환시장 이모저모

"지금 장기 저성장 얘기할 때 아냐…통화스와프 등 인프라 구축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만났습니다]윤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②

"스태그 환경에서 '저성장' 거론은 혼선 초래"

선진국형 양적완화도 할 수 있는 '정책 인프라' 필요

물가 목표치 유지해야…"고물가 시대 상향 안 맞아"

[이데일리 최정희 이윤화 기자] 인플레이션 후폭풍이 지나가고 난 이후엔 우리나라 경제는 또다시 저성장·저물가를 걱정하게 될까. 실제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이달 초 `BOK 국제컨퍼런스` 개회사에서 “인플레이션이 진정된 뒤 한국, 태국, 중국 등 인구 고령화 문제에 직면한 일부 신흥국에서 저(低)물가, 저성장 환경이 도래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윤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가 14일 서울대 사회과학대학 교수 사무실에서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경기 변동은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저성장·저물가 상황은 언젠가 다시 온다”면서도 “중앙은행이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하에서의 물가 상승) 환경에서 금리를 결정해야 하는데 그 이후의 환경을 얘기하는 것은 시장에 혼선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물가가 어차피 내려갈 것이라면 금리를 안 올리고 버티는 게 낫지 않겠냐는 속내가 있는 지를 의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윤 교수는 장기적 측면에서 저성장·저물가 상황에 대처해야겠지만, 선진국으로 갈수록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가산점도 있지만 점수를 깎아 먹지 않음으로써 평균 점수를 유지할 수도 있다”며 “선진국형으로 가면 장기 침체 성장률이 확 떨어지는 상황을 겪어야 할 가능성이 높은데 마이너스 또는 (잠재보다) 낮은 성장률의 빈도수를 줄이는 등 성장률 하방 리스크를 줄이는 게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윤 교수는 정책 인프라를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통화정책 측면에선 한미 통화스와프 등을 체결하는 것이 그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제안했다. 그는 “미국은 실업률이 2009년 1분기 9%에서 지금은 자연실업률보다 낮은 3.6%인데 이는 양적완화 정책이 상당 부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선진국형 대규모 양적완화 정책을 실시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일본·스위스·유럽 중앙은행 등이 2013년부터 1년마다 미국과 통화스와프를 갱신하고 있는데 위기 시 양적완화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통화스와프라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는 뜻.

그는 “선진국으로 가는 것 자체로 이득이 있어야 하는데, 그 이득은 그냥 주어지는 게 아니라 얻어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례 없는 인플레가 닥치면서 7년째 유지하고 있는 2% 단일 물가목표제의 유효성에도 의문이 커지고 있다. 한은과 기획재정부는 올 연말 물가안정목표제 전반을 점검할 예정이다. 학계 일각에선 목표치를 높이자는 의견도 제기된다. 그러나 윤 교수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왜 디플레이션이 일어나지 않을 까에 의문이 생긴 적이 있는데, 미국이 장기간 물가목표를 2%로 유지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며 “물가목표치를 장기간 유지함으로써 기대 인플레이션을 잘 통제할 수 있는 이득이 더 크다”고 말했다.

특히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올리면 중립금리가 올라가는데 지금처럼 고물가 상황에서 중립 금리를 올려놓고 고물가를 잡기 위해 중립금리보다 더 높은 금리를 가져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고물가 시대에 물가목표치를 올리는 것은 중앙은행이 자기 발목을 잡는 일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