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례없는 '다자회의' 첫 해외순방…타지역 추가방문 가능성도
윤석열 대통령 |
(서울=연합뉴스) 정아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첫 해외 순방으로 이달 29∼30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첫 한일정상회담이 열릴지 주목된다.
9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나토 정상회의에 참석할 계획을 사실상 굳혔으며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세부 계획을 최종 조율 중이다.
미국·유럽 중심 집단안보 체제인 나토는 이번 회의에 비회원국인 한국·일본·호주·뉴질랜드를 처음 초청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참석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지난달 10일 취임한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의 첫 대면 가능성이 커졌다.
윤 대통령은 대선 다음 날인 3월 11일 기시다 총리와 첫 통화를 했다.
취임 후인 지난달 23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고위급 회의에 참석해 화상으로 인사를 전했다.
관심을 끄는 것은 마드리드에서 한일 정상이 어떠한 형식으로 만나느냐다.
두 정상이 관계 개선에 한 목소리를 내는 만큼 짧은 시간의 의례적인 만남이 아닌 정상회담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한일 정상회담은 2019년 12월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가 중국 청두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양자 회담을 한 것이 마지막이다.
다자회의 계기 열리는 정상회담은 정상이 상대국을 방문해 회담하는 것보다 부담이 덜한 측면이 있다.
마드리드에서 2년 7개월 만에 한일정상회담이 열릴 경우, 일제강점기 강제징용·일본군 위안부 등 수년간 양국 관계 교착의 원인으로 지목된 과거사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된다.
대통령실 내부에선 한때 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 해법으로 거론됐던 '문희상안(案)' 등을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일정상회담에 앞서 이달 중하순 일본에서 열릴 것으로 보이는 박진 외교장관과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간 회담 결과가 주목된다.
윤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한일회담이 열리면 위안부 문제가 의제가 될 것 같은데 해법을 준비하고 있느냐'는 취재진의 물음에 "(한일) 과거 문제에 대해선 미래에 대한 협력 차원에서 한일간 문제가 원만하게 잘 풀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나토 정상회의 참석으로 '다자 정상외교'로 순방의 첫발을 떼게 됐다.
역대 대통령들이 모두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지로 미국을 택한 것과는 구분된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취임 후 51일만인 2017년 6월 30일 미 워싱턴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71일만인 2013년 5월 7일 워싱턴에서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개최했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54일 만인 2008년 4월 19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과 회담했다.
최우방국인 미국을 가장 먼저 방문하던 관례를 벗어나는 '예외적인' 상황은 지난달 21일 서울에서 조 바이든 미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이 이미 개최된 것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윤 대통령은 이번 회의 계기에 한미·한미일 정상회담 등 별도 정상외교 일정도 소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바이든 대통령과는 불과 40여일 만에 재회하는 셈이 된다.
양국 정상은 지난달 첫 정상회담에서 확인한 협력 상황을 점검하는 한편 북한 핵실험 징후가 점차 뚜렷해지는 상황을 평가하며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의는 윤 대통령이 대면 다자외교 무대에 데뷔한다는 의미도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제2차 글로벌 코로나19 정상회의'에 참석했지만 해당 회의는 화상으로 진행됐다.
윤 대통령이 나토 정상회의를 전후로 다른 지역을 들르는 일정도 대통령실 내에서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자회의 참석만 하고 돌아오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다.
나토 정상회의 참석 확정 발표가 늦어지는 배경에는 추가 일정 조율 문제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전해졌다.
air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