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사건들 종결됐지만 사회 일각서 문제 제기 알고 있어"
금감원 설립 이후 첫 검찰 출신 수장
라임·옵티머스·디스커버리 등 전정권 겨냥할지 주목
"민간 자율과 혁신에 기회 드려야겠다는 마음"
이복현 신임 금감원장.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복현 신임 금감원장. 연합뉴스
이복현 신임 금융감독원장은 8일 라임·옵티머스 펀드 사태와 관련해 시스템을 통해 다시 볼 여지가 있는지 점검해보겠다고 밝혔다.
금감원 설립 이후 처음으로 검찰 출신 원장이 임명되면서 사모펀드를 둘러싼 검찰 수사가 전 정권을 정면으로 겨누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온다.
이 원장은 이날 금감원 출입기자들과 만나 라임·옵티머스 사태 등을 다시 볼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사모펀드와 관련된 것들은 개별 단위 펀드 사건별로 모두 종결되고 이미 넘어간 걸로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사회 일각에서 문제 제기가 있는 것도 알고 있다"며 "저희가 시스템을 통해 혹시 볼 여지가 있는지 잘 점검해보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전 정부에서 손실이 컸던 디스커버리 펀드 등에 대해서도 필요하면 전반적으로 들여다볼 수 있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풀이된다.
옵티머스사태는 지난해 옵티머스자산운용이 펀드 가입 권유를 통해 투자자로부터 1조원이 넘는 돈을 모은 뒤 투자자들을 속이고 부실기업 채권에 투자했다가 막대한 손실을 본 사건이다.
디스커버리펀드는 운용사의 불완전 판매와 부실 운용 등으로 환매가 중단돼 투자자들이 막대한 피해를 본 사건으로 지난해 7월 경찰이 수사에 착수했다.
이 과정에서 디스커버리펀드 자산운용 대표인 장하원씨가 장하성 중국대사의 친동생이고, 장 대사 역시 60억원 정도를 디스커버리펀드에 투자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문제가 됐다.
이 원장은 "다만 규제 자체가 금융산업 특성상 아예 사라질 수 없는 것이라서 어떻게 합리화하고 더 예측 가능하게 할지, 그리고 피감 기관들과 관계를 서비스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불편을 없게 하려는 생각은 있다"고 언급했다.
가계 부채 관리와 관련해서는 "은행, 중소 서민 등 분야별로 지표 같은 것을 제일 세심하게 보고 있으며 어제 오자마자 제일 먼저 본 게 이 부문이었다"고 말했다.
임면권자인 윤석열 대통령이 당부한 사항이 있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이 원장은 "개별적으로 전달받은 것은 없지만 (제가) 경제에 관심이 있고 새 정부의 전체적인 (경제) 정책 기조를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