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4 (금)

이슈 메타버스가 온다

ETRI, 세계 최고수준 메타버스 'XR 협업 플랫폼' 기술 개발 성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확장현실(XR) 기반 메타버스 공간 협업 11명까지 참여 가능
통영·대전 초등학교 과학교육 실증으로 실용성 검증
뉴시스

[대전=뉴시스] ETRI가 개발한 XR 협업 플랫폼을 이용해 초등학교 과학수업을 진행하는 모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온·오프라인으로 자유롭게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는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이 합쳐진 확장현실(XR) 형태의 메타버스 공간에서 다수의 원격 참여자가 상호작용하며 여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XR 협업 플랫폼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5명 내외로 실시간 협업이 가능했던 기존 플랫폼과 달리 2배가 넘는 11명이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고 원격협업이 가능해 신규 서비스 창출과 메타버스 상용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ETRI가 개발한 XR 메타버스 플랫폼은 ▲XR 공간 구축·확장 ▲XR 공간에서의 3차원 좌표인식에 의한 대규모 참여자의 고정밀 위치인식(VPS) ▲개별 사용자 손동작 인식 ▲메타버스 공간 내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등을 통해 사용자 간 다양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SW) 기술이다.

ETRI 연구진은 XR 글래스 등에 모바일용 실시간 맵 학습 기술을 추가해 실시간으로 XR 공간을 정렬하고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고, 가상으로 생성된 공간과 실제 공간의 오차는 2.85㎝에 불과할 만큼 정밀하다.

특히 ETRI는 사용자 간 상호 움직임이 0.1초 이내에 동기화되도록 플랫폼을 최적화했고 참여인원이 늘어도 협업 플랫폼의 연산속도가 유지되도록 조율, 세계 최고 성능을 구현했다.

뉴시스

[대전=뉴시스] XR 기반 메타버스 협업 플랫폼 기술 개념도. *재판매 및 DB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는 아바타를 활용한 음성채팅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상호작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네트워크 지연 및 데이터 동기화 문제로 참여 인원도 제한적이다.

연구진은 "단일 계층 딥러닝 추론 기업을 활용해 추적해야 하는 손동작이 많아도 0.01초 만에 인식하며 접속자 간 협업 연산속도를 0.1초로 유지하는 등 세계 최고 성능을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접속자 수가 늘어나면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해 동작 인식시간도 길어진다.

연구진 이미 이 기술은 지난해 12월 경남 통영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육 시나리오에 적용, 원격 비대면 교육 시범서비스를 통해 실용성도 검증했다. 올해 10월 대전시 소재 초등학교에 20명 대상으로 추가 실증을 계획하고 있다.

ETRI CG/Vision연구실 손욱호 박사는 "세계 최고 수준의 XR 기반 메타버스 협업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원격 협업 기반의 교육, 제조, 오피스, 홈 등의 다양한 분야로 상용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이밖에도 VR·AR·XR 기술 관련 국제표준 제정을 위해서도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ys0505@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