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운송 차질 우려에 수출기업 '긴장'…"비상대책반 가동"
시멘트·철강·석유화학 '직격탄'…"대안책 없어 '답답'"
경기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컨테이너와 화물차량 모습. 2022.6.6/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신건웅 기자,권혜정 기자,구교운 기자,김민성 기자 = 화물연대가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기업들도 초비상이다. 전국적인 물류대란이 가시화하면서 '비상대책반'을 운영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내 물류가 막히면 부품 수급 문제는 물론 수출까지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파업에 대비해 재고를 추가 확보하는 등 대비했지만 물류대란이 장기화하면 피해가 불 보듯 뻔하다.
그 중에서도 수출기업과 물류 비중이 큰 기업, 시멘트·철강 업체 등이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석유화학 업체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인플레이션, 물류대란까지 겹치면서 기업들의 부담은 더 커지게 됐다.
◇부산항 셧다운되나…수출업체 '전전긍긍'
화물연대는 7일 경기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와 부산 신항, 전남 광양항 등 전국 16곳에서 총파업 출정식을 열었다.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에서도 파업이 예고돼 있다. 부산지부 조합원(3000여명) 외에도 비조합원들까지 합세할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항은 우리나라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차지하는 수출 기지다.
또 여수 국가산단, 광양항, 여수항에서도 화물연대 조합원들이 파업을 선언했다. 국내 수출입산업 전반에서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주요 수출기업들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 큰 타격은 없지만 파업이 길어지면 피해를 면하기 어렵다. 물류대란으로 부품 수급에 차질이 생기면 공장이 멈추고, 판매망으로 제품 공급은 물론 수출도 막힐 수 있다.
전자 업체 관계자는 "예고된 파업이라 일정부분 대비는 해놨다"면서도 "아무래도 길어지면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했다.
물류 기업들도 비상대책반을 가동하며 대체화물차나 대체 구간 논의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해운업체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항구가 셧다운되면 컨테이너 운반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해운 관계자는 "선박 입출항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파업이 본격화하면 항만 내 박스 반·출입이 다소 지연될 것"이라며 "파업 장기화 시에는 피해를 면치 어렵지만 대책이 없이 답답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기 안양시의 한 레미콘 공장에 레미콘 차량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2022.5.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시멘트·철강, 운송 차질 직격탄…건설현장 어쩌나
시멘트업계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시멘트 운송을 담당하는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 3000여대 중 30%인 1000여대가 화물연대 소속이기 때문이다.
벌크시멘트트레일러(BCT)를 통한 육상운송·해상운송·철도운송으로 레미콘사나 건설사 등에 시멘트가 공급되는데, 특히 내륙 업체들의 경우 BCT 의존 비중이 높다.
특수차량인 만큼 대체차량 투입이 어려운 데다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2000여대를 통한 운송도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지난 화물연대 파업 때도 주요 시멘트공장 앞에 BCT를 세워두고 다른 차량의 출하를 막아선 사례가 있었다.
지난해 11월 화물연대 총파업 당시 하루 일평균 시멘트 출하량은 기존 20만톤에서 4만~5만톤 수준으로 80%나 급감한 바 있다. 하루 매출 피해 규모는 110억원에 달했다.
건설사, 레미콘사는 통상 1~2일 분량의 재고를 확보하고 있다. 이보다 파업이 길어질 경우 건설현장의 일정 차질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파업에 대한 대책이 사실상 없는 상황"이라며 "화물연대가 다른 차량의 운송을 방해하는 행위에 정부가 엄정하게 대응해주길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철강업계 상황도 비슷하다. 급한 대로 '비상대응 체제'에 돌입했지만 피해가 불가피하다. 철강 운송이 막히면 건설현장과 제조업체까지 줄줄이 악영향을 미친다.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육로 대신 해상이나 철도를 통해 일부 제품 운송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쉽지 않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철강재 출하지연은 공장 운영에 큰 타격을 준다"며 "(장기화되면) 생산량을 줄여야 하고 고객사 공장 가동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선박 및 철도 전환 출하 등을 통해 파업에 대비 중이며 일부 긴급재는 사전출하하고 운송사 별도협의를 통해 고객사 수급영향을 최소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석유화학업계에서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최대 석유화학단지 울산에서도 화물연대 조합원 2600여명 중 1000여명이 파업에 참가할 예정이다.
석화단지 관계자는 "일주일 정도는 재고분으로 버틸 수 있는데 그 이상 파업이 계속되면 생산차질은 불가피하다"며 "파업이 빨리 끝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물연대의 총파업에 대해 정부는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면서도 운송을 방해하는 불법 행위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히 조치할 계획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keo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