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의 급등세로 휘발유·경유 등 국내 기름값도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25일 서울 시내 한 주유소에 유가정보가 표시돼 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전날 전국 주유소에서 판매되는 경유 평균 가격은 리터당 2000.93원을 기록했다. 경유 가격이 2000원을 넘은 것은 전국 판매 가격 통계가 집계된 2008년 4월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문호남 기자 munona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다음달 2일 열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러시아 등이 포함된 OPEC+의 정례회의에서 치솟는 국제 유가를 진정시킬 해결책이 나올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다만 국내 증권가에서는 변화를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김소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30일 "이번 회의에서도 기존 원유증산 계획인 월 43.2만b/d 늘리기로 한 합의를 고수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전망했다.
에너지 수입국가들의 부담이 커지면서 G7 에너지 및 환경 장관 회의 등을 통해 OPEC+의 압박 수위도 높아졌지만 증산에 대한 합의는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다.
헝가리의 반대로 러시아에 대한 6차 제재의 일환인 러시아산 석유제품 수입 전면 금지안이 아직 채택되지 못했지만 유럽연합 등에서는 러시아산 석유 금수 조치에 대한 시도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를 지속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원유 공급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사진출처=AP연합 |
김 연구원은 이번 회의에서 증산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이유로 몇 가지를 제시했다.
OPEC+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을 통해 치솟은 유가로 인해 큰 수입을 얻고 있다. IMF에 따르면 중동과 북아프리카 지역의 2022년 평균 예상 재정균형 유가는 배럴당 95달러다. 이 수준이 유지된다면 재정흑자가 가능하다. OPEC 내 원유생산능력이 높은 사우디 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의 경우 재정균형 유가가 각각 배럴당 79달러와 76달러로, 현재의 유가 수준이라면 재정흑자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다.
OPEC, 미국, 러시아 간의 외교적 관계도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다르게, 사우디의 인권 문제(2018년 사우디 반정부 언론인 암살과 최근 사형집행)와 예멘 내전 개입을 비판한 바 있다. MBS와의 직접 외교도 하지 않았다. 이런 미국의 정치외교적 입장 변화에 대해 사우디는 불만을 갖고 있으며, 이란의 핵 협상 타결에도 불만을 갖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전쟁으로 인해 OPEC의 입지가 커졌다는 점에서, 러시아와의 협력 관계도 유지하고 싶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OPEC의 예비생산능력도 감소하고 있다. OPEC가 실제적으로 늘릴 수 있는 원유 생산량이 제한적이라는 뜻이다. 현재 OPEC의 예비생산능력은 520만 배럴 정도인데, 러시아의 2021년 원유수출량인 430만배럴보다 90만배럴 많다. 하지만 520만 배럴 내 원유수출을 하지 못하고 있는 이란의 예비생산능력 인 130만배럴이 포함돼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OPEC가 원한다고 하더라도 원유공급을 늘리는 데에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OPEC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발 원유 공급 차질에 대한 해결책으로 작용하기에는 어려움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는 게 김 연구원의 분석이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