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코로나19 입원환자들, 심장 · 폐 · 신장 지속적 손상 사례 많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할 만큼 증상이 심한 환자들은 심장, 폐, 신장 등 주요 장기에 지속적인 손상을 입는 경우가 많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23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글래스고 대학 연구진은 2020년 5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코로나19 환자 159명의 후유증(롱코비드)을 추적한 결과를 최근 학술지 '네이처 메디신'에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코로나19로 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감염자들이 퇴원 후 28~60일 사이 어떤 후유증을 겪는지 검사해 확인하고, 각 질환의 유병률을 비슷한 연령대의 대조군과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입원 경험자들은 심장, 폐, 신장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보였습니다.

특히 이들 중 13%, 즉 8명 중 1명은 퇴원 후 2달 안에 심근염 또는 심장염에 걸릴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심근염 발생 가능성은 의료계 종사자, 급성으로 신장 질환을 앓았던 환자, 기계 호흡이 필요할 정도로 중증이었던 환자에게서 더 높았습니다.

입원 경험자들은 퇴원 후 외래 진료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고, 사망이나 재입원 비율도 대조군보다 훨씬 높았습니다.

연구진은 이런 후유증은 삶의 질 저하, 과도한 건강염려, 불안과 우울감 증가, 신체 활동 감소로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연구 책임자인 콜린 베리 교수는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감염 후 1~2개월 동안 이상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보여준다"며 "건강한 사람도 코로나19를 심하게 앓을 수 있으므로 후유증을 피하려면 백신을 맞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이 연구는 영국에서 코로나19 백신이 광범위하게 접종되기 전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백신 접종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환자의 중증도와 입원율이 크게 낮아진 현재 상황을 반영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한편, dpa 통신에 따르면 영국 골든주빌리국립병원 연구진도 최근 코로나19가 심장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다는 논문을 '마취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2020년 9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스코틀랜드 10개 병원 중환자실에서 기계 호흡 치료를 받은 중환자 121명의 심장 상태를 확인했습니다.

조사 결과 환자 3명 중 1명은 폐로 혈액을 보내는 심장 우측 부위가 손상돼 있었습니다.

이들 환자의 절반은 코로나19로 사망했습니다.

논문 저자인 필립 맥콜 박사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코로나19가 당신의 심장 오른쪽을 상하게 하고, 궁극적으로 죽음을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