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G7 정상회담

인도 밀 수출 금지령에 G7 비판…이집트는 예외 적용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크라 전쟁에 식량 보호주의 확산…인도 "영구조치 아냐"

(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인도 정부가 식량 안보 확보를 내세워 밀 수출을 금지한 데 대해 주요 7개국(G7)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이집트는 인도산 밀을 계속 수입하기 위해 수출 금지령 예외 적용을 요구하는 등 국제사회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합뉴스

인도의 밀 생산 농가 작업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15일 인도 매체와 외신들에 따르면 인도 대외무역총국(DGFT)은 전날부터 밀 수출을 금지하되, 발표 전에 '취소불능 신용장'(ICLC)이 개설됐거나 정부가 다른 나라 요청 등으로 허가한 경우만 수출하도록 했다.

인도는 세계 2위의 밀 생산국이지만, 자국 수요가 많아 수출 물량이 아주 많지는 않다.

인도는 2022∼2022 회계연도(매년 4월 시작)에 700만t의 밀을 수출했고, 2022∼2023 회계연도에는 1천만t 수출을 목표로 세웠다.

우크라이나의 작년 밀 수출량은 2천만t으로 세계 6위였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올해 우크라이나산·러시아산 밀 공급이 줄어 밀가루값이 급등한 가운데 인도산 밀 수출까지 통제되면서 가격 추가 상승과 각국의 '식량 보호주의' 가속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G7 외무장관들은 독일에서 열린 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촉발한 식량 위기를 주요 의제 가운데 하나로 논의하고, 인도의 밀 수출 금지령을 비판했다.

G7 농업 장관들 역시 인도의 밀 수출 금지령이 가격 상승 위기를 악화시킬 것으로 우려했다.

젬 외즈데미르 독일 농업 장관은 G7 농업 장관 회의 뒤 기자회견에서 "만약 모두가 수출 규제를 하거나 시장을 닫기 시작하면 위기를 더 악화시킬 것"이라며 "인도가 G20(주요 20개국) 회원국으로서 책임을 보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또 2천만t의 밀이 우크라이나 창고에 쌓여있어 긴급한 수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럽의 빵바구니'로 불리는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침공을 받은 뒤 밀 수확량이 급감하고, 러시아가 흑해 연안을 봉쇄해 수출 자체가 어렵다.

연합뉴스

인도의 밀 농부 작업 모습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인도 정부는 지난 11일까지만 해도 올해 밀 생산량 추정치로 봤을 때 수출을 제한하지는 않을 것이란 입장이었다.

하지만, 폭염에 따른 밀 생산량 감소 우려와 국제시장 가격 상승, 식료품 등의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반영해 정부가 밀 수출을 통제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인도 정부는 밀 공급을 요청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수출을 허용할 것이고, 수출금지령이 영구적이지 않다고 외부 비판에 대응했다.

인도 정부는 높은 국제시장 가격 때문에 밀을 사재기하거나, 수출에만 집중해 내수시장 가격이 치솟는 현상 등을 막기 위해 수출을 통제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집트 정부는 인도산 밀을 계속 수입하기 위해 수출 금지령 예외 적용을 인도 정부와 논의 중이라고 14일 밝혔다.

지난달 이집트 농업부는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밀 수입 부족분을 채우기 위해 인도산 밀을 수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집트 농업부는 인도산 밀 수입분 6만3천t 가운데 4만5천t 이상이 인도의 밀 수출금지령 발표 전 이미 배에 실렸고, 나머지도 차질없이 수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한국의 경우 밀 수입량 가운데 미국·호주·캐나다산이 99% 이상을 차지해 인도산 수입이 거의 없지만, 인도의 수출 금지령이 국제 곡물 가격 상승세에 기름을 부을까 봐 우려한다.

noano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