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4 (화)

이슈 치료제 개발과 보건 기술

“코로나19 끝나도 K-백신 필요…정부 연구비 ‘선택과 집중’ 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2022 바이오 코리아 ‘K-백신 자급화 현황 및 전략’ 컨퍼런스에 참석한 패널들./변지희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백신은 실제로 개발 가능한 업체 한 두 곳을 선별해 집중적인 지원을 해줘야 합니다. 제조 설비뿐 아니라 임상 3상까지 지원할 수 있는 과감한 지원이 있어야 K-백신이 성공할 수 있습니다.”

12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최로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바이오 코리아 ‘K-백신 자급화 현황 및 전략’ 컨퍼런스에서 발표자로 참석한 김태현 LG화학 제품개발연구소 팀장이 한 말이다.

백신 등 의약품 개발의 경우 초기임상보다 임상 2상, 3상 등 후기 임상으로 갈수록 연구개발 비용은 몇 배에서 수십 배로 늘어난다. 김태현 팀장은 “백신 개발은 성공하기도 어렵지만 개발 후에도 (지속적인 판매 여부 등) 상당한 위험성을 안고 있다”라며 “(집중적인 지원이 이뤄진다면) 제조사 입장에서도 위험성을 감안해 개발에 뛰어들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여러 제조사들을 지원하기보다 전문가들의 검증 과정을 거쳐서 개발 가능한 업체를 선정하는 게 필요할 것 같다”며 “컨소시엄의 경우 참여 기업체별로 추구하는 바가 각각 다를 수 있어서 초기에는 잘 진행돼도 나중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정부나 관련 부처의 과감하고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백신을 개발하는 다른 기업들도 정부가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백영옥 유바이오로직스 대표는 “임상 허가를 받은 곳은 여러 군데 있지만 갈수록 한계가 드러나는 상황이다”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다른 새로운 질병이 등장할 것이기 때문에, 기업들이 위기에 대응하고 기술을 완성할 때까지 정부가 지속적으로 지원을 해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조양제 아이진 기술총괄대표도 정부와 업체가 인정할 수 있는 백신 가이드라인을 설정해 감염병 위기 시 보다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올지 모르는 감염병에 대비해 정부가 백신 원료나 생산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고 비임상시험을 직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 등을 미리 준비해주면 좋겠다”며 “(코로나19 팬데믹이 지나가고) 여유가 있을 때 미리 준비를 해둬야 추후에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변지희 기자(zhe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