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유가 상승에 정유업계는 활짝, 석유제품 수출 11년 만에 최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울산시 남구 석유화학공단의 모습.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정유업계의 석유제품 수출량이 국제 유가 상승과 글로벌 석유 수요 확대에 힘입어 작년 동기 대비 2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석유협회(KPA)는 올해 1분기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S-OIL),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가 수출한 석유제품 물량은 1억899만 배럴로 작년 1분기 대비 20.0% 증가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2011년 1분기(25.6%)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전년 동기 대비 석유제품 수출물량은 2020년 2분기부터 6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이어오다가 지난해 3분기부터 상승세로 전환했다.

같은 기간 수출금액은 120억300만달러로 95.3% 늘어 1분기 증가율로는 2000년(118.2%) 이후 2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석유제품(금액 기준)은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하는 1분기 국가 주요 수출 품목 중 자동차를 제치고 4위로 한 단계 올라섰다.

이 같은 수출량, 수출액 증가는 글로벌 석유 수요 확대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올 1분기 국제 두바이 유가는 배럴당 95.6달러로 지난해 1분기 대비 59% 상승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등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코로나19 완화에 따라 이동수요와 산업 생산이 늘면서 글로벌 석유 수요가 꾸준히 회복될 것으로 전망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 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도 배럴당 19.5달러로 지난해 1분기(8.8달러)보다 10.7달러 증가했다.

1분기 석유제품 수출 상대국 비중은 호주(13.2%), 중국(12.7%), 싱가포르(12.6%), 일본(9.8%), 베트남(9.1%) 순으로 집계됐다.

호주가 수출국 1위를 기록한 것은 처음이다. 정유회사 BP와 엑손모빌이 2020년과 2021년 각각 호주 내 정유공장을 폐쇄하면서 호주 전체 정비설비 중 50%가 감소해 당분간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상황인데, 국내 정유사들이 발 빠르게 대처해 수출물량을 늘린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2016년부터 6년 연속 최대 수출국을 유지했으나, 지난해 6월 중순 이후 중국 정부의 경순환유(LCO) 수입 소비세 부과 등에 따라 수출량이 급감했다.

석유제품별로는 경유(42%), 휘발유(25%), 항공유(13%), 나프타(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공유는 지난 2년간 전 세계 여행객 감소로 석유제품 중 가장 크게 수출이 감소했으나 코로나 완화에 따른 이동수요 증가에 힘입어 반등에 성공했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글로벌 석유 수급이 매우 타이트해진 상황이지만 국내 정유업계는 세계 5위의 정제능력을 보유한 만큼, 국내 수급 안정뿐만 아니라 수출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