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연기관 차량 조기 판매 중단 시 경제 효과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전기차를 몰면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유류비 절감 효과가 얼마나 될까요? 이같은 유류비 절감 효과가 국가 경제 전체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의뢰를 통해 영국 컨설팅 전문기관인 케임브리지 이코노메트릭스가 수행한 연구 '한국 탈내연기관 정책의 경제 환경 영향 분석'에 이런 질문에 대한 해답이 들어있습니다. 보고서는 지난 3월 24일 공개됐습니다.
케임브리지 이코노메트릭스는 자동차 수명을 13년으로 쳤을 때 이 기간 동안 전기차를 타는 데 들어가는 총 충전 요금 비용이 휘발유 차량 주유비에 비해 1,300만 원가량 저렴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기름값과 전기 요금 등 비용은 한국에서의 시장 가격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중형 사이즈의 전기 자동차가 연간 15,000km를 운행한다고 가정했을 때 전 생애 기간(13년간) 충전 비용은 6,507달러(793만 8천 원)인 반면, 같은 사이즈의 휘발유 자동차의 주유비는 17,191달러(2천97만 원)로 1,300만 원가량 가격 차이가 난다는 겁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연구소는 이같은 연료비 격차로 인해 내연기관 차량 운전자에 비해 전기차 운전자의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나고 국가 경제 차원에서도 GDP 및 일자리 증가 효과로 이어진다고 분석했습니다.
내연기관 자동차 조기 판매 중단이 GDP 증가로 이어지는 이유는 주유비 절감 효과와 더불어 차량용 배터리 가격 인하를 통한 전기차 가격 하락 효과가 크다고 보고서는 분석합니다. 보고서는 2020년 리튬이온 배터리 가격이 kWh당 137달러로 2010년 대비 89% 낮아진 데 이어서 2030년 kWh당 58달러까지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렇게 소비자들이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전기차 구매와 운행에 더 적은 돈을 지출하게 되고, 이는 수입 화석연료에 대한 지출 감소와 국내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지출 증가로 이어져 국내총생산 확대를 불러온다는 겁니다.
내연기관 차량 조기 중단은 일자리 증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일자리는 배터리와 부품 등 전기차 공급망에서도 창출되지만, 전기차 이용에 따른 연료비 등 가계 지출 감소로 인해 소비 증가를 유발하면서 서비스업과 제조업에서도 많은 일자리를 새로 만든다는 겁니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제조와 화석연료 산업에서 축소되는 일자리 수를 상쇄하고도 남는다는 게 보고서의 설명입니다.
특히 내연기관 차량 판매 중단 시기를 앞당길수록 경제 선순환 효과가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내연기관 중단 시점에 따른 경제효과를 2030년과 2035년 두 가지 시나리오로 비교 분석한 게 그 근거입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에서 2030년 내연기관 판매가 중단되면 2020년 대비 국내총생산이 0.19% 늘고, 일자리는 4만 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휘발유·경유 신차가 줄어드는 만큼 석유 수입량은 26% 줄고,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8천 700톤 감소한다는 추가 효과도 있고요.
내연기관 판매 중단 시점이 2035년으로 늦춰지면 2020년 대비 GDP가 0.12%, 일자리는 2만 6천 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석유 수입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역시 감소하지만 2030년 내연기관 중단 시보다는 감소량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수소차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습니다. 그린수소는 에너지 생산 단계 및 차량 운행 단계에서 모두 막대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배터리 전기차와 동일한 최종 에너지를 제공하려면 3배의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린수소 가격이 떨어진다고 해도 전기보다 비싼 연료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겁니다. 블루수소는 아직 실현되지 않은 탄소 포집 기술에 의존해야 하고, 그레이수소는 탄소 배출이 많아 장기적 옵션이 될 수 없다고도 지적합니다.
이 때문에 2030 내연기관 판매 중단 시나리오에서 배터리 전기차가 신차 판매의 95%를 차지할 때 수소차는 5%를 차지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며 이마저도 장거리형 배터리 전기차의 출시로 수소차 비중은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장세만 환경전문기자(ja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