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이슈 산업생산과 소비동향

우크라이나 사태 한 달…산업계 생산 늦추고 공장 가동 차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LG전자 글로벌 물류 차질로 선적 중단

현대차, 러시아 공장 생산 멈춰

정유업계도 가동률 조정 고심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최대열 기자, 김진호 기자] 우크라이나로 산업용 페트(PET) 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A사는 최근 운송 중인 5개 컨테이너 물량이 전쟁 발발로 터키에 강제 하역해야 했다. A사는 제품의 우크라이나 수출에 차질이 생긴 것은 물론 선사가 터키에 강제 하역된 제품의 재선적 포함 왕복 비용을 청구한 터라 지체료, 체선료 부담까지 떠안게 됐다. 이 회사는 수출대금 미수금, 물류비용 부담으로 인한 자금난까지 겹쳐 사업에 치명타를 입었다.

러시아에 연간 10만달러 규모의 자동차부품을 수출하는 기업 B사는 최근 한 달 새 7만5000달러의 주문량 중 2만5000달러어치가 취소됐다. 나머지 5만달러 주문도 취소될 수 있어 당장 부품 생산과 자금 확보에 초비상이 걸린 상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가 24일로 한 달을 맞이하면서 국내 산업계의 피해 규모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꽉 막힌 수출 길은 재개 시점을 예상할 수 없는 상태이고 물류난에 서방의 대러 경제 제재까지 덮치며 국내 수출 기업과 현지 진출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치솟을 대로 치솟은 국제 유가 및 원자재 가격의 추가 상승이 지속되면 원가 부담 및 공급망 차질에 따른 피해가 전 산업에 확산되는 ‘도미노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최근 러시아행 제품 선적을 모두 중단했다. 독일 하팍로이드와 덴마크 머스크, 스위스 MSC 등 글로벌 선사들이 대러 제재 동참과 물동량 감소 등을 이유로 러시아행 운항을 중단한 영향이다.

이로 인해 삼성과 LG전자 모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현지 사업에 타격을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판매법인을 두고 현지 사업을 벌여왔던 삼성·LG전자는 사실상 사업이 멈춰선 상황이다. 러시아에서 운영 중인 가전 및 TV공장도 사태가 더욱 길어지면 핵심 부품 수급 문제로 공장 가동 중단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두 회사 모두 현지 철수가 필요하다는 국제 여론에도 불구, 쉽사리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두 기업 모두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시장 공략에 갖은 공을 들여왔다"면서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은 만큼 섣불리 철수를 결정하는 것은 부담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경영활동에 차질을 빚는 건 자동차업계도 마찬가지다. 최근 중국산 부품 공급 차질까지 겹치면서 현대차·기아는 주요 완성차 조립라인의 가동을 일부 조정했다. 현대차는 러시아 공장이 현지 물류체계 마비로 가동을 멈춘 데 이어 국내 공장까지 생산차질을 빚으면서 전반적인 물량조절이 불가피해졌다.

조선사들도 러시아에서 발주한 선박의 인도가 늦춰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을 비롯해 대우조선, 한국조선해양 등 한국 3대 조선사들이 러시아 선주들로부터 선박과 해양 장비를 총 8조원가량 수주한 상황이다. 계약에 맞춰 인도 전까지 선박을 만들기는 해야 하지만 러시아 대금 결제가 마비되면서 잔금을 받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출렁이는 국제유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정유업계는 가동률 조정을 고심 중이다. 유가 인상에 따라 석유제품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면서 생산을 줄여야 하는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있다. 당장 2월 도입 물량이 줄어들어 오는 5월 이후 가동률 조정이 예상된다.

한편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대금결제, 물류 및 공급망, 정보 부족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기업들이 속출하고 있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23일까지 약 한 달간 총 436개사가 558건의 긴급애로를 접수했다. 대금결제가 300건으로 가장 많았고, 물류 및 공급망(188건), 정보 부족(47건) 등이 뒤를 이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김진호 기자 rpl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