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1 (화)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진출 노르웨이 이통사, 쿠데타 군부 관련 기업에 매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군정 최종 승인…1천800만명 통화기록 군부에 제공 가능성 커져

연합뉴스

미얀마 양곤 시내 텔레노르 대리점(자료사진)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2021.09.15 송고]



(방콕=연합뉴스) 김남권 특파원 = 미얀마 쿠데타 군사정권이 노르웨이 이동통신사 텔레노르의 미얀마 사업 매각을 최종 승인했다.

인수 기업이 미얀마 군부와 연계됐다는 점에서, 인권단체들이 우려한 대로 1천800만명에 달하는 가입자들의 통화정보 등이 군부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18일 로이터·AFP 통신에 따르면 텔레노르는 이날 성명을 내고 자사의 미얀마 사업 부문을 레바논 투자사 M1 및 현지 업체에 매각하는 계획을 군정이 승인했다고 밝혔다.

텔레노르는 애초 미얀마 사업 매각이 M1 그룹과의 단독 합의였지만, 미얀마 당국이 텔레노르와 M1간 거래 이후 현지 업체가 대주주가 돼야 한다는 점을 M1에 요구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M1 그룹은 미얀마 현지 파트너인 '쉐 바인 퓨'가 80%의 지분을 가지게 됐다고 통보해왔다고 텔레노르측은 말했다.

M1측도 같은 날 별도 성명을 내고 쉐 바인 퓨 그룹과 합작 투자사를 설립, 텔레노르 운영권을 인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쉐 바인 퓨 그룹의 회장인 테인 윈 조는 현지 이통사 미텔 등 군부가 운영하는 사업체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지 매체 이라와디는 쉐 바인 퓨 그룹이 전 해군 참모총장이자 현 군정 교통부 장관인 틴 아웅 산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M1 그룹에 대해서도 과거 미얀마 군부와 거래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다.

텔레노르는 지난 2014년 미얀마에서 사업을 시작한 뒤 현재 미얀마 인구의 3분의 1인 1천800만 명 가량을 가입자로 보유한 3대 이동통신사 중 하나다.

지난해 군부 쿠데타 이후 경영 악화 및 각종 규제 강화를 이유로 7월 사업 매각 방침을 발표했다.

그러나 매각 대상에 통화기록도 포함된다는 점 때문에, 통화기록 등 개인 정보가 군부가 넘어가 반대 세력 탄압에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주장이 인권단체들 사이에서 제기되면서 논란이 커졌다.

지난해 9월에는 가입자들의 이동통신 사용을 감시하라는 쿠데타 군부의 계속된 압박 때문에 사업 철수를 결정했다는 텔레노르 고위 관계자의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이 때문에 미얀마와 노르웨이 시민단체는 물론 최근에는 텔레노르의 일부 기관 투자자들도 매각 이후 개인정보 악용에 대한 우려를 제기해왔다.

매각 반대 또는 유예 촉구에도 불구하고 텔레노르의 미얀마 사업이 군부와 연계된 기업에 넘어가면서, 반(反) 쿠데타 진영의 행보가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얀마 군부는 문민정부 압승으로 끝난 지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며 지난해 2월1일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잡고 반군부 인사들을 유혈 탄압해 왔다.

태국에 본부를 둔 인권단체 정치범지원협회(AAPP)에 따르면 쿠데타 이후 1천670명가량이 목숨을 잃었다.

sout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