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유가 폭등에 쌓이는 적자… 한전, 특수채 찍어 버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기요금 발전원가 못 따라가 올해 5조 발행

채권 고금리로 찍어내자 "시장 교란" 목소리

전기요금 올리자니 인플레 자극에 '사면초가'

아주경제

한국건력 특수채 발행 추이(단위=억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이 채권 발행을 급격하게 늘리고 있다. 전기요금이 발전원가를 따라잡지 못하면서 적자가 누적되는 데 따른 조치다. 한전은 돈이 없다고 돈을 안 쓸 수 없는 회사다보니 채권을 대거 찍어내 사업을 유지하고 나선 것이다.

한전이 발행하는 채권은 '한국전력공사채권'이라는 이름의 특수채다. 정부가 원리금 지급을 보증하기에 한전의 특수채 발행은 정부의 부담이다.

3월 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 9월부터 특수채 발행을 급격하게 늘리고 있다. 연초이후 지금까지 발행한 특수채만 5조100억원 규모다. 한전은 지난해 지난해 1분기에는 특수채 발행이 없었다.

한전이 특수채 발행에 집중하기 시작한 시기는 지난해 6월부터다. 당시 정부는 한전의 2021년 3분기 전기요금을 동결하는 조치를 내렸다. 지난해 초부터 도입한 '원가연계형 요금제'에 따라 한전은 지난해 2분기부터 전기요금을 올려야 했지만 정부가 '국민 생활 안정'을 이유로 막던 상황이다.

그 결과 한전의 실적은 지난해 2분기를 기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2분기 764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며 이어 3분기에도 9366억원의 영업손실을 입었다. 한전은 지난해 연간 영업손실 규모가 5조8601억원이라고 밝혔다. 손실이 커지는 속도에 급격히 빨라진 것이다.

한전의 특수채 발행도 이때부터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다. 한전은 지난 2년간 16조4400억원의 특수채를 발행했는데 이중 15조4400억원이 지난해 6월 이후 나온 것이다.

한전의 특수채 발행 급증에 금융투자업계의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시장의 분위기와 상관없이 물량을 마구 찍어내다보니 가산금리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한전은 지난 6월 특수채 금리를 1.4~1.9% 수준에서 발행했다. 하지만 금리를 서서히 올리며 스프레드를 벌리는 중이다. 지난 2월부터는 3%가 넘는 금리로 발행된 물량이 더 많다.

문제는 고금리 채권이 시장에 많이 풀린다면 기존에 우량한 평가를 받는 채권들의 매력이 크게 떨어진다. 시장을 교란한다는 얘기다. 채권 발행을 통해 자금을 발행하려는 다른 회사나 기관에서는 '한전이 행패를 부리고 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하지만 한전 입장에서는 자금 조달이 시급하다. 실적이 회복세로 돌아설 조짐이 없는 가운데 원가관리 실패는 더욱 심화되는 분위기다.

한전의 전기요금은 한전이 아니라 정부가 주도해 결정한다. 그러다보니 전기요금 산정에 원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국제유가가 내려가면 원가가 내려가 수익이 쌓이고 반대로 유가가 오르면 적자를 보는 '천수답식' 경영이 이어지는 곳이다.

문제는 유가다.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13년만의 최고 수준을 넘어섰다.

6일(현지시간) 기준 국제 원유시장에서 브렌트유는 장중 한때 139.13달러에 거래됐다. 전 거래일보다 18% 폭등한 수치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도 130.50달러까지 올랐다. 이는 각각 2008년 7월 이후 최고가다.

시장 교란 논란에도 불구하고 특수채를 찍어내 버티고는 있지만 원가 부담이 이를 훨씬 뛰어넘는다는 게 증권가의 우려다.

최근 각 증권사 리서치센터는 한전에 대해 이구동성의 분석을 내놓고 있다. "연료비와 구입전력비 증가로 2021년보다 영업적자가 확대될 것"이라는 게 증권가의 공통된 의견이다.

한전은 실적이 나쁘다고 설비가동을 줄일 수 있는 곳이 아니다보니 원가 보전이 안되는 상황에서는 적자 누적을 피할 길이 없다. 채권시장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특수채 발행에 집중하는 것도 석탄화력 발전 설비의 매몰비용과 'K-반도체 벨트' 전력망 조성 등 예정된 지출을 피할수 없어서다.

정대호 KB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전력조달 단가 상승이 불가피해지면서 예상보다 한전의 특수채 조달은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특수채 스프레드 확대와 그에 따른 우량장기 회사채 매력 저하 가능성도 걱정거리"라고 설명했다.

박광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한전이 바라는 요금 정상화는 '그림의 떡'인 상황"이라며 "기후환경요금 인상, 물가 상승, 대선 이후 정권 초기 등의 요인이 겹치기 때문에 요금이 인상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전망했다.
강현창 기자 kanghc@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