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이슈 물가와 GDP

물가 바라보자.. 단기물에 집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미국의 러시아 추가 제재가 시장의 예상범위를 뛰어넘지 않으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되며 코스피가 장 초반 1% 상승으로 출발한 2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경기가 위축될 수 있으니 금리를 크게 올리면 안 된다"

"높은 물가로 인해 소비를 비롯한 경기가 위축될 수 있으니 먼저 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아야 한다."

후자는 최근 리오프닝 추세에 지정학적 위기감까지 고조되면서 높아진 물가에 대한 달라진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스탠스다. 이와 관련해 채권시장의 분위기도 달라졌고 채권에 대한 전략은 가격 변동성 위험이 제한적인 단기물에 국한돼야 할 것이라는 제안이 제기된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금은 역시 물가가 중요하다'는 제목의 채권 이슈 전략 보고서를 통해 현재 채권시장 분위기에 대해 27일 이같이 정리했다.

시장의 분위기는 Fed의 일시적(transitory) 물가 상승에 대한 진단이 후퇴한 이후에는 접근 방식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사실 미국 Fed을 비롯한 글로벌 중앙은행들은 지난해 4분기를 기점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를 높였다. 코로나19 직후에 진행됐던 적극적인 경기부양에서 벗어나 새로운 정책 기조로의 전환이었다. 단순하게 물가에 관심을 집중했다는 사실 외에도, 전환의 속도와 강도 역시 금융시장에는 당혹스러울 정도로 강력했다. 미국의 경우 지난해 3분기까지만 하더라도 점도표를 통해 Fed이 제시한 올해 기준금리 인상 횟수는 1회에 불과했다. 하지만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는 그 횟수를 3회로 늘렸고, 1월에는 당장 3월부터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을 개시하고 인상 횟수도 늘어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같은 통화당국의 급격한 정책 기조 전환으로 인해 채권시장 참가자들의 경제 여건에 대한 인식 정도는 크게 달라졌다. 과거 물가 이슈가 불거지는 국면에서 채권시장은 통화당국이 물가에 대응할 경우 경기가 둔화될 수 있다는 사실을 상기하며 기준금리 인상의 폭이나 강도를 축소해서 평가하는 경향이 컸다. "올려도 많이 못 올리고 얼마나 올릴 수 있겠느냐"가 채권시장을 관통하는 핵심 논리였던 셈이다.

공 연구원은 "3월 FOMC를 시작으로 내년도 상반기까지 최대 8회(금리 조정의 폭을 25bp라고 가정 시)에 걸쳐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며 "8회 가운데 금리 인상이 집중적으로 이뤄지는 시기는 올해이며 내년에는 속도 자체는 감속될 수 있다고 예상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당장 통화정책에 대한 부담이 큰 만큼 채권에 대한 전략은 가격 변동성 위험이 제한적인 단기물에 국한할 것으로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한국은 최근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에도 국채 물량 부담이 여전히 상존한다"며 "대통령 선거 이후 추가로 추경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을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