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여론조사 경선 제안…尹측 정치적 합의 요구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국회사진기자단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선 후보 등록 첫날인 13일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공식 제안에 따라 야권 단일화 논의에 본격적으로 불이 붙었다.
이날 단일화 제안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안 후보가 각자 후보 등록을 마친 직후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안 후보는 이날 오전 유튜브 기자회견에서 윤 후보를 향해 "정권 교체, 구체제 종식과 국민 통합의 길을 가기 위해 야권 후보 단일화를 제안한다"고 밝혔다.
앞서 안 후보와 참모들이 단일화 가능성을 일축하고 거듭 완주 의지를 밝혀온 가운데 선제적으로 단일화를 제안하는 쪽으로 급선회한 모양새다.
윤 후보 측도 안정적인 정권 교체를 위한 단일화 필요성에 대해선 큰 틀의 공감대를 형성한 만큼 앞으로는 구체적인 방식을 놓고 치열한 기 싸움이 예상된다.
일단 안 후보는 여론조사 경선에 의한 단일화를 꺼냈다.
그는 회견에서 "차기 정부의 국정 비전과 혁신 과제를 국민 앞에 공동으로 발표하고 이행할 것을 약속한 후 여론조사 국민 경선을 통해 단일 후보를 정하고 누가 후보가 되든 서로의 러닝메이트가 되면 압도적 승리를 끌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여론조사 방식에 대해서도 "지난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양당이 합의했던 기존 방식을 존중하면 윤 후보님 말씀대로 짧은 시간 안에 매듭지을 수 있다"고 했다.
앞서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양당은 '야권 단일후보로 국민의힘 오세훈·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중 누가 적합하다(경쟁력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을 사용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안 후보는 이날 통화에서 "이것이 제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제안"이라고 배수진을 쳤다. 그러나 윤 후보 측은 후보 간 일대일 담판에 따른 단일화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최근 다자 대결 여론조사에서 윤 후보 지지율이 안 후보에 서너 배 앞선 상황에서 경선은 무의미하다는 이유를 내세운다. '역선택'에 대한 우려도 깔렸다.
후보 간 담판에 의한 정치적 합의는 사실상 안 후보의 '양보'를 의미한다.
안 후보의 자진 사퇴를 압박해온 이준석 대표는 이날 유세 열차에서 기자들과 만나 "(안 후보가) 너무 본인의 행보에 유리한 방향으로 끌고 가려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윤 후보도 안 후보의 제안에 대해 기자들에게 "고민해보겠습니다만, 아쉬운 점도 있다"고 했다. '아쉽다'는 데 방점을 찍은 것으로 해석됐다.
단일화 이후의 '지분' 배분 문제도 핵심 쟁점으로 꼽힌다.
후보 본인뿐만 아니라 주변의 이해관계도 얽힌 만큼 단일화 방식을 둘러싼 신경전보다 오히려 더 극심한 진통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지점이다.
안 후보 측은 단일화 제안의 진정성을 부각하며, 지분 문제를 거론하는 것 자체에 불쾌해하는 기류가 역력하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안 후보가 밝힌대로 구체제 종식이 지상과제"라며 "정권 교체의 대의를 위한 단일화 논의에서 미리 지분 운운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국민의힘 일각에선 벌써 윤 후보로의 단일화를 전제로, 대선 승리 시 안 후보에게 어떤 역할을 부여할지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인다.
안 후보에게 새 정부 초대 책임 총리를 제안하는 방안부터 공동 정부 내지 연합 정부 수립까지 다양한 아이디어가 거론되고 있으나, 일단 윤 후보 본인과의 교감을 바탕으로 한 논의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윤 후보 측은 그동안 비공식 라인을 통해 안 후보가 자진 사퇴의 대가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려고 시도했으나, 별다른 답변을 얻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실무 협상이 본격화할 경우 이 문제를 비공식 의제로 다시 테이블에 올릴 가능성이 있다.
두 후보가 각자 후보 등록을 마친 만큼 이제는 투표용지 인쇄일인 28일을 2차 데드라인으로 설정하고, 물밑 의견 교환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측이 사전 투표일인 3월 4∼5일을 마지막 데드라인으로 해 그 전까지 벼랑 끝 전술을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