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2 (수)

이슈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우크라, 美에 사드 배치 요구”… 러시아, 침공 명분 삼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크레믈궁, “상황 더 불안하게 만드는 행보” 비난

2016년 한국의 사드 배치 때 중국 반응과 비슷

독일 총리 “러시아 침공시 우크라이나 적극 지원”

세계일보

2019년 7월 미국 수도 워싱턴의 백악관에 전시돼 있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발사대와 이를 구경하는 미국 시민들.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의 침략 위협에 직면한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미사일 요격을 목적으로 미국에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 방어체계) 배치를 요청했다고 러시아 언론이 보도했다. 즉각 러시아 대통령실에서 “우크라이나가 상황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는 비난이 나온 점에 비춰볼 때 러시아가 사드 배치 시도를 침공 빌미로 삼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런 가운데 미국을 방문한 독일 신임 총리는 그간의 침묵을 깨고 “유사시 우크라이나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란 강경한 입장을 내놓았다.

러시아 타스 통신은 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정부가 러시아와 인접한 동부 하리코프 일대에 복수의 사드 포대를 배치해줄 것을 미국 정부에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미사일을 쏘는 경우 공중에서 요격하기 위한 자위 목적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작 타스 통신의 초점은 다른 쪽에 맞춰졌다. 우크라이나 정부 움직임을 통신에 제보한 소식통은 “사드 시스템에 포함되는 사격통제레이더 AN/TPY-2는 러시아 내 광범한 지역의 공중 및 우주 상황을 감시해 우크라이나와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동맹국들이 러시아 영토 내 1000km 거리까지 샅샅이 들여다볼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지적했다.

2016년 박근혜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위협을 들어 경북 성주에 사드를 배치하기로 하자 중국이 “미군 레이더가 우리나라(중국) 내부까지 감시하게 될 것”이라며 우격다짐 반발한 것을 떠올리게 하는 대목이다. 이후 중국이 한한령(限韓令·중국 내 한류 금지령)을 내리는 등 한국에 대대적 보복을 가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당장 러시아도 당시의 중국과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러시아 대통령실인 크레믈궁의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은 기다렸다는 듯 “(사드 배치는) 상황을 불안하게 만드는 또 다른 행보가 될 것”이라고 우크라이나에 경고했다. 미군 레이더가 러시아 주권을 침해한다는 점을 명분 삼아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행할 수 있음을 드러낸 것으로 풀이된다.

사드는 사거리 3000㎞급 이하 중·단거리 탄도미사일로부터 핵심 군사시설과 인구 밀집지역을 보호하기 위한 미국의 대표적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다. 지난 1월 17일 중동에서 예멘의 후티 반군이 탄도미사일로 아랍에미리트(UAE)를 공격했을 때 UAE에 배치된 사드가 이를 성공적으로 요격함으로써 진가를 발휘했다. 미국이 해외 기지에 배치한 사드의 실전 발사는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일보

한국의 경북 성주에 배치돼 있는 사드 발사대 및 지원 차량 모습. 세계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통령 선거를 앞둔 한국에선 사드 추가 배치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제1야당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북한의 미사일 위협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사드 추가 배치를 주장하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중국의 보복을 부를 수 있는 위험한 발상이라며 ‘안보 포퓰리즘’으로 규정하고 나섰다.

세계일보

지난 4일 벨라루스 브레스트스키 사격 훈련장에서 러시아와 벨라루스 군대가 탱크와 장갑차를 비롯해 대전차 미사일, 야포 등을 동원해 우크라이나를 겨냥한 연합훈련을 하는 모습. 브레스트스키=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지난해 12월 취임 후 우크라니아 사태에 소극적 태도로 일관해 온 독일의 올라프 숄츠 신임 총리가 방미 및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모처럼 이 문제에 관해 입을 열었다. 숄츠 총리는 미 워싱턴포스트(WP)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는 경우 나토 회원국인 독일은 모든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다”며 “이 경우 러시아는 치명적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