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군, 방화·구금 '여전'…가옥 수백 채 잿더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데타 1년 넘겨서도 민간인 대상 폭력 행위 여전

(양곤=연합뉴스) 이정호 통신원 = 쿠데타 1년을 넘긴 미얀마에서 군부가 주민 가옥 수백 채를 불태우고, SNS를 뒤져 반군부 운동 참여 의사를 밝힌 시민 100여 명을 잡아들이는 등 민간인 피해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미얀마군에 의해 전소된 사가잉 지역 빨레구 흐므엣 톤 마을·2022.1.31.
[미얀마 나우 홈페이지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5일 현지 매체 이라와디 등에 따르면 미얀마군은 지난달 말 사가잉 지역 타바인, 빨레, 민진, 카니, 쉐보, 킨 우 등 6개구, 14개 마을에서 가옥 600여 채를 불태워 4천명 이상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빨레구 흐므엣 톤 마을 주민은 이라와디에 군인들이 250여 채의 모든 가옥을 아무런 이유도 없이 불태웠다고 전했다.

한 주민은 "집은 물론, 돼지도 소도 불에 타서 사라졌다. 옷만 가지고 간신히 도망쳤다"고 말했다.

인근 빤 마을에서도 2백 채가량의 가옥이 불에 타 없어졌다.

또 민진구의 빈쭌 마을 150여 채, 인근 3개 마을 34채, 친드윈 강둑의 낫지 마을 가옥 31채 등도 미얀마군의 방화로 잿더미로 변했다.

미얀마군은 반군부 주민 무장조직인 시민방위군(PDF)과의 싸움에서 패한 뒤 인근 마을들을 돌아다니면서 주민들이 PDF를 도왔다고 주장하며 불을 지른 것으로 알려졌다.

군부는 또 지난달 27일부터 지난 2일까지 '침묵 파업'에 가담한 시민 109명을 반테러법 위반 혐의로 체포했다고 이라와디가 국영 신문을 인용해 보도했다.

연합뉴스

침묵 파업으로 차가 거의 없는 양곤 중심부 술래 파고다 앞 거리·2022.2.1.
[양곤=연합뉴스] 이정호 통신원



침묵 파업은 출근을 거부하고 장사를 하지 않음으로써 군부에 저항한다는 명확한 메시지를 주자는 반군부 운동으로, 쿠데타 1년을 맞아 지난 1일 미얀마 전역에서 진행됐다.

군부는 침묵 파업을 앞두고 이에 참여하는 사람은 최장 무기징역이 가능한 반테러법으로 처벌하겠다고 강력하게 경고했었다.

SNS에 침묵 파업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나타낸 이들은 군부에 정권을 빼앗긴 민주주의 민족동맹(NLD) 소속 전직 의원부터 승려, 의사, 간호사, 사업가, 점쟁이 등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고 매체는 전했다.

군정은 이들이 선동 목적으로 SNS에 관련 게시물을 퍼뜨려, 테러 단체로 규정한 민주진영 임시정부인 국민통합정부(NUG), 연방의회 대표위원회(CRPH), PDF 등을 도왔다고 주장했다.

미얀마 군부는 문민정부 압승으로 끝난 지난 2020년 11월 총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며 지난해 2월1일 쿠데타를 일으킨 뒤 유혈 탄압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1천500명 이상이 목숨을 잃은 것으로 유엔과 인권단체는 추산하고 있다.

2021340@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