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임금근로자, IMF 외환위기 이후 23년 연속 하락세
거리두기 4단계 격상…사적모임 제한 앞둔 번화가 (CG) |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지난해 국내 근로자 중 자영업자 등 비(非)임금근로자 비중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중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이후 23년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를 합한 비임금근로자는 652만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3.9%였다.
무급가족종사자는 임금을 받지 않고 자영업자의 사업체 등에서 일하는 가족이나 친척을 말한다.
비임금근로자 중 자영업자가 551만3천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0.2%였고, 무급가족종사자가 100만7천명으로 3.7%였다.
임금근로자는 2천75만3천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76.1%에 달했다.
지난해 전체 근로자 중 비임금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63년 이래 가장 낮은 것이다.
[그래픽] 비임금근로자 비중 추이 |
이 비중은 1964년 69.3%로 정점을 찍은 뒤 줄곧 하락해 1984년(47.1%) 처음으로 50% 선 아래로 떨어졌다.
이후 하락세가 이어졌고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부터 지난해까지는 23년 연속 하향 곡선을 그렸다.
이 비중이 하락세를 보인 것은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는 정체를 보인 반면 임금근로자는 많이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비임금근로자 652만명은 50년 전인 지난 1971년(602만4천명)과 비교하면 8.2%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년 전인 2001년(795만5천명)보다는 18.0% 줄었다.
반면 임금근로자는 1971년 392만3천명에서 지난해 2천75만3천명으로 429.0% 증가했다. 20년 전인 2001년(1천365만9천명)보다는 51.9% 증가한 것이다.
국내에서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갈수록 낮아지고 있지만 주요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 높은 편이다.
2019년 기준 국내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5개 회원국 중 8위였다.
미국(6.1%)의 4배가 넘고 일본(10.0%)의 약 2.5배 수준이다.
[표] 비임금근로자 추이 (단위: 천명)
연도 | 1971 | 1999 | 2001 | 2019 | 2020 | 2021 | |
근로자 | 9,946 | 20,291 | 21,614 | 27,123 | 26,904 | 27,273 | |
비임금근로자 | 소계 | 6,024 | 7,628 | 7,955 | 6,683 | 6,573 | 6,520 |
자영업자 | 3,396 | 5,703 | 6,071 | 5,606 | 5,531 | 5,513 | |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 - | 1,351 | 1,548 | 1,538 | 1,372 | 1,307 | |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 - | 4,351 | 4,523 | 4,068 | 4,159 | 4,206 | |
무급가족 종사자 | 2,628 | 1,925 | 1,884 | 1,077 | 1,042 | 1,007 | |
임금 근로자 | 소계 | 3,923 | 12,663 | 13,659 | 20,440 | 20,332 | 20,753 |
상용근로자 | - | 6,135 | 6,717 | 14,216 | 14,521 | 14,887 | |
임시근로자 | - | 4,254 | 4,722 | 4,795 | 4,483 | 4,634 | |
일용근로자 | 1,046 | 2,274 | 2,220 | 1,429 | 1,328 | 1,231 |
(자료=통계청)
kak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