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미얀마 민주화 시위

미얀마 군부 손잡은 훈센 ‘내멋대로 외교’에 아세안은 분열 … 미소짓는 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맞손 잡은 미얀마 군부와 캄보디아 -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부 최고사령관(왼쪽)과 훈센 캄보디아 총리가 7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만나 기념물을 전달하고 있다.캄보디아 국영방송(TVK) 제공, AF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얀마 군부와 손잡고 아세안(ASEAN) 정상회의에 복귀시키려는 훈센 캄보디아 총리의 ‘내멋대로 외교’에 아세안 회원국들이 잇달아 우려를 표하고 있다. 미얀마 문제를 놓고 강경한 입장을 고수해왔던 아세안이 흔들리는 가운데 미얀마의 ‘뒷배’라는 의심을 받고 있는 중국은 오히려 현 상황을 반기는 분위기다.

16일 싱가포르 채널뉴스 아시아에 따르면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는 14일 훈센 캄보디아 총리와의 화상 통화에서 “아세안이 미얀마에 대해 합의했던 ‘5개항’에 진전이 있을 때까지 아세안 정상회의에는 미얀마의 ‘비정치적’ 대표만 초청한다는 결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싱가포르 외교부는 “이같은 결정을 수정하기 위한 논의는 새로운 사실에 근거해야 한다”면서 미얀마가 5개항을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전까지는 결정을 번복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밝혔다. 리 총리는 아세안이 민주주의민족동맹(NDL) 등 미얀마의 모든 당사자들을 회의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외교부는 덧붙였다.

말레이시아와 베트남도 캄보디아를 견제하고 나섰다. 사이푸딘 압둘라 말레이시아 외무장관은 지난 13일 기자들과의 대화에서 “아세안 회원국 중 일부는 훈센 총리의 미얀마 방문이 미얀마의 쿠데타 세력을 합법화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면서 “아세안 의장국으로서 다른 아세안 국가 정상들과 상의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훈센의 미얀마 방문이 성과를 거두었냐는 질문에 “아니오”라고 일축했다.

부이탄손 베트남 외교장관은 14일 놀린 헤이저 유엔 미얀마 특사와의 화상 회담에서 “미얀마 문제의 해결책은 사람을 중심에 놓아야 한다”면서 “국제사회와 유엔, 아세안이 대화와 화해를 통해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캄보디아가 미얀마 군부의 인권 탄압을 눈감은 채 성급하게 접근한다고 에둘러 비판한 것이다.

아세안은 지난해 4월 미얀마에 대해 ▲폭력 즉각 중단 ▲모든 당사자의 자제 ▲미얀마 특사 파견해 모든 당사자와의 면담 등 5개 조항에 합의했다. 아세안은 미얀마 군부가 이들 5개항을 이행하지 않는 한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배제한 채 미얀마의 비정치적 대표들만 회의에 참석하도록 한다는 원칙을 지켜왔다. 그러나 훈센은 “미얀마 군부를 언제까지 아세안에서 배제할 수 없다”면서 미얀마 사태에 대해 “다른 방식의 접근”을 하겠다는 입장이다.

훈센 총리는 지난 7~8일 이틀간 미얀마 군부와 면담한 뒤 공동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미얀마 군부는 14일 “캄보디아가 (미얀마의 아세안 정상회의 복귀에) 공정한 결정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아세안 국가들은 캄보디아가 미얀마에 대한 아세안의 전략인 ‘외교적 고립’을 무력화하고 아세안 정상회의에 미얀마 군부를 참여시키려 한다며 경계하고 있다.

아세안 국가들은 훈센 총리의 합의되지 않은 행보에 우려를 숨기지 않고 있다. 리셴룽 총리는 훈센 총리에게 “훈센 총리의 방문 후 며칠 뒤 미얀마 군부가 반군부 세력에 대해 추가 공격을 자행했으며 아웅산 수지 미얀마 국가고문에게 징역형을 선고했다”고 지적했다. 캄보디아가 아세안 의장국을 맡아 개최하는 첫 공식 행사인 외교장관 리트리트(비공식 자유토론)에 아세안 일부 회원국들이 불참을 통보하면서 캄보디아는 18일 개최하려던 행사를 연기했다.

반면 중국은 캄보디아의 행보를 지지하고 나섰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기자회견에서 “캄보디아가 미얀마 문제에 대해 정치적 대화를 통해 기여할 수 있도록 전폭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알자지라는 “미얀마 군부는 중국이 철도와 항만, 전력 등 교착 상태에 빠진 인프라 사업을 재개하도록 압박하고 있다”면서 “중국 역시 미얀마의 국제적 고립이 해소되면 라킨주 경제특구 등 인프라 사업을 재개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미얀마 군부에 공격형 잠수함을 판매하는 등 미얀마의 ‘뒷배’ 역할을 한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김소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