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중국에서 한국의 위상이 이전만큼 높지 않다는 비판적 목소리가 제기됐다.
중국 경제전문지 매일경제신문은 한때 중국에서 큰 인기를 누렸던 한류 문화가 서서히 시들고 있다면서 그 대표적 사례로 K-뷰티로 불리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잇따른 중국 매장 철수를 지적했다.
이 매체는 한국 화장품 브랜드의 대표 기업인 아모레퍼시픽의 ‘이니스프리’가 중국 본토 시장에서 대규모 철수를 선언했다고 10일 밝혔다. 최근까지 600여 곳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했던 해당 브랜드는 올해 말까지 140곳으로 매장 수를 줄일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기존 오프라인 매장 대비 무려 80% 이상 감소한 수치다.
더욱이 이 매체는 해당 브랜드가 지난해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오프라인 매장 수를 지속적으로 줄여나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 2012년 이 브랜드가 중국 시장에 진출한 이후 2014년에는 무려 100곳의 추가 신규 매장을 여는 등 매출 최고점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 중국에서의 위상이 크게 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라는 게 현지 언론들의 지적이다.
특히 최고 전성기에는 중국 내 2~3선 도시에 추가 신규 매장을 잇따라 여는 등 총 600여 곳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했다.
하지만 지난 2017년 고고도 미사일 사드 배치로 인한 양국간의 무역 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면서 중국 내 한국 브랜드의 무역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이니스프리는 지난 2017년을 기점으로 지난해까지 총 5년 연속 매출액이 급감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지난해 1~3분기까지 이 브랜드의 중국 내 매출액 규모는 각각 890억 원, 879억 원, 722억 원 등으로 꾸준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중국 관영매체 환구시보는 한국의 한 언론 보도를 인용해 ‘한국과 중국의 관계는 수교 30년간 교역량과 인적 교류 면에서 비약적으로 성장했다’면서도 ‘이 과정에서 중국에서 한국의 상대적 중요성과 지위는 갈수록 축소된 반면 한국은 중국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일방주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 대표적 증거로 중국이 한국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1992년 4%에서 2020년 24.6%로 커졌지만, 중국 시장에서 삼성 휴대폰의 시장 점유율이 1% 미만으로 급감한 것을 꼽았다.
그러면서 ‘중국 내 한국은 작아지고 한국 내 중국은 커졌다’고 진단했다.
한편 이 같은 내용이 보도되자 현지 누리꾼들은 “양국은 역사적으로 근본적인 충돌 지점은 없었다”면서 “가장 큰 문제는 한국인들이 자신들의 목에 스스로 목줄을 달고, 그 줄을 미국에게 맡긴 채 이리 저리 휘둘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양국이 조화를 이루는 것은 어려워보인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한국은 중국의 남방 지역인 저장성의 인구와 국토 규모에 불과하다”면서 “역사적으로도 한국은 오랫동안 중국 산하의 작은 성에 불과했다. 역사는 반드시 되풀이된다는 측면에서 머지 않은 미래에 한국은 또 다시 중국의 하나의 성의 위치로 회귀하게 될 것이 자명하다”고 했다.
임지연 베이징(중국) 통신원 cci2006@naver.com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페이스북]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