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신촌 한 스터디카페에서 관계자가 '방역패스 적용 중단' 안내문을 붙이고 있다. 이날 서울행정법원 행정8부(이종환 부장판사)는 4일 함께하는사교육연합·전국학부모단체연합 등이 보건복지부 장관을 상대로 낸 집행정지(효력정지) 신청을 일부 받아들였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정부의 방역 패스(백신 패스) 정책의 효력을 멈춰달라는 소송이 또 한 번 제기됐다.
전국학부모단체연합·백신패스반대국민소송연합은 6일 서울행정법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방역 패스를 즉각 철회하라”며 법원에 정부의 방역 패스 처분을 취소하는 행정소송을 내고 집행정지도 신청했다.
이들은 “백신 패스 반대 행정소송을 신청한 국민이 3000명이 넘었다”며 “(백신 접종) 권고는 적절하더라도 국민의 신체에 대한 강제는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구직 활동이 중단된 취업준비생이나 생필품을 구매할 수 없게 된 주부 등 백신을 접종하지 않아 생활에 불편을 겪는 신청인들의 사연을 전했다.
단체는 지난 소송과 달리 이번 행정소송은 청소년뿐 아니라 성인을 포함해 적용되는 방역 패스 정책을 취소해달라는 취지라고 밝혔다.
방역 패스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며 제기된 신청은 예정된 것을 포함해 총 4건이다.
가장 먼저 함께하는사교육연합 등 학부모 단체가 학원·독서실 등 청소년 이용시설에 대한 방역패스 효력을 멈춰달라며 지난달 17일 서울행정법원에 본안소송과 함께 집행정지 신청을 냈다. 법원은 지난 4일 이를 받아들여 집행을 정지했다.
지난달 31일에는 현직의사 등 1023명이 방역 패스 전체의 효력을 정지해달라며 사법부 판단을 구했다. 법원은 7일 심문기일을 열고 양측의 주장을 검토하기로 했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인 양대림(18)군을 포함한 시민 1700명도 7일 헌법재판소에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이다. 아울러 방역 패스의 위헌 여부를 따져달라는 헌법소원 심판도 청구된 상태다.
정부는 청소년 대상 방역 패스의 효력을 정지한 법원 결정에 항고하는 등 방역 패스 정책이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수영 기자 ha.suyoung@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