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최초 외국 정상 방문
광물 공급망·탄소중립 등 논의할 듯
일각서 ‘방문 시기 부적절’ 비판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3박4일간의 호주 국빈 방문을 위해 12일 오전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하며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문재인 대통령이 3박4일간의 호주 국빈 방문을 위해 12일 출국했다. 핵심광물 공급망, 탄소중립, 방산 등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이 집중적으로 모색될 예정이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김정숙 여사와 함께 전용기를 타고 경기 성남시 서울공항을 출발했다. 이날 밤 늦게 호주 수도 캔버라에 도착할 예정이다.
한국 정상의 호주 국빈 방문은 2009년 이명박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코로나19 이후 호주가 초청한 첫 외국 정상이다. 문 대통령은 그간 주요7개국(G7)·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를 비롯한 다자외교무대에서만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졌다.
문 대통령은 13일 캔버라에서 모리슨 총리와 정상회담, 협정서명식, 공동기자회견 등을 한다. 전쟁기념관과 한국전쟁 참전 기념비를 방문해 헌화하고, 한국전쟁에 참전한 호주인들과 만찬을 한다.
문 대통령은 14일 호주 최대 경제도시인 시드니에서 호주 야당인 노동당 앤소니 알바니즈 대표와 면담한다. 이어 호주 경제인들을 만나 핵심광물 공급망을 주제로 간담회를 한다. 문 대통령은 15일 귀국한다.
이번 국빈 방문에서는 공급망, 탄소중립, 방산 등 분야 협력이 주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호주는 한국의 광물자원 수입 1위 국가다. 호주는 전기차, 2차전지 등의 원료이자 앞으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리튬, 코발트, 니켈, 희토류 같은 핵심광물의 매장량이 풍부하다. 지난해부터 중국의 무역보복을 겪고 있는 호주로서도 이러한 핵심광물의 풍부한 배후수요를 갖고 있는 한국과의 협력이 긴요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얼마 전 요소수 사태에서 봤듯이 특정국 의존도를 낮추고 도입선을 다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핵심광물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데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새로운 도전과제로 대두된 기후변화, 보건, 사이버 위협 등 비전통안보 문제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위기 등 현안 해결을 위한 전략적 협력 심화 토대를 구축할 것”이라며 “호주 측이 강력히 희망하고 있는 탄소중립 기술, 수소경제, 우주, 사이버 및 핵심광물 등 미래 첨단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호주가 최근 미국의 베이징 동계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하는 등 중국과 호주 관계는 악화일로다. 호주는 오커스(AUKUS, 미국·영국·호주 3자 외교안보협의체)와 파이브아이즈(Five Eyes, 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5자 기밀정보 동맹) 회원국이다. 문 대통령의 이번 호주 방문 결과에 따라 중국이 민감하게 반응할 여지가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중국은 우리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이자 최대 교역국으로, 정부는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중국과의 관계도 조화롭게 발전시켜 나간다는 입장”이라며 “이러한 기본 입장에서 호주와 지역 및 국제문제 관련 상호 관심사에 대해서 긴밀하게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과 호주 모두 코로나19 확산세가 커지고 있는 와중에 이뤄지는 이번 호주 방문이 시기상 부적절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청와대는 올해 양국 수교 60주년을 맞아 모리슨 총리가 문 대통령 초청에 많은 공을 들였다며 호주 측이 예정대로 방문해 달라는 입장을 여러 차례 전해왔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수행원 규모 축소 및 전원 백신 접종 완료, 대규모 행사 지양, 대표단 이동 제한 등 철저한 방역 조건 하에서 진행할 예정”이라며 “국정 최우선 순위는 코로나 대응이지만 경제 회복도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국정과제”라고 설명했다.
정대연 기자 hoan@kyunghyang.com
▶ [뉴스레터] 식생활 정보, 끼니로그에서 받아보세요!
▶ [뉴스레터]교양 레터 ‘인스피아’로 영감을 구독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